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 측이 민간인 신분인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에게 안보·보안용으로 사용하는 ‘비화폰’을 제공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4일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2차 청문회에서 “대통령경호처가 관리하는 비화폰을 (계엄 전날인) 12월 2일 노상원에게 주도록 한 인물은 김성훈 차장”이라고 밝혔다.
이날 윤 의원이 "끝 번호가 9481인 번호가 노씨가 썼던 것으로 확인된다“고 말하자, 비화폰 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김대경 경호처 본부장은 "정확하게는 (기억나지 않는다)"면서 말끝을 흐렸다.
그러자 윤 의원은 김 본부장을 향해 "기억나게 해드리겠다"며 "계엄 하루 전인 12월 2일 김성훈 경호처 차장의 김모 비서관이 (경호처에) 와서 비화폰을 가져갔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구체적인 증거로 경호처 불출대장에 적힌 '테스트(예)' 기록을 제시하며 예비역인 노씨에게 비화폰이 지급된 기록이라고 설명했다.
예비역이던 노 전 사령관의 경우 ‘테스트(예)’라고 기록됐고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의 경우 ‘테스트(특)’,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의 경우 ‘테스트(수)’,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의 경우 ‘테스트(방)’으로 기재됐다.
윤 의원은 “노상원의 비화폰은 (계엄 나흘 후인) 12월 7일 반납됐다. 입을 맞추고 증거인멸한 후에 반납을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서 그는 김 차장이 계엄 관련 기록 은폐를 시도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윤 의원은 "김 차장이 지난해 12월 13일 금요일 김 본부장에게 지시를 했다. 자신(김 차장)이 내란과 결부된 게 들어와서 관련 (불출대장) 기록을 삭제할 것을 요구했다. 그 요구를 받은 적 있냐"고 물었지만, 김 본부장은 "관련 내용은 현재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며 구체적인 답변을 피했다.
윤 의원은 “김 차장이 노상원에게 비화폰을 갖다바쳤다는 것은 내란에 깊숙이 관여했고 내란 중요임무 종사자라는 것”이라며 “기록삭제에 매달린 것도 압수수색을 거부하는 이유도 비화폰이 내란의 결정적 증거이기때문”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민간인 신분으로 계엄을 사전 모의하고 주도한 혐의를 받는 노 전 정보사령관의 첫 재판은 오는 6일 시작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