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로 겨울철 평균기온이 상승하면서 전 세계 주요 대도시에서 쥐 개체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과학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게재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워싱턴DC의 쥐 개체 수는 390% 급증했다. 샌프란시스코(300%), 토론토(186%), 뉴욕(162%) 등도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조너선 리처드슨 미국 리치먼드대 교수 연구팀은 미국 13개 도시와 캐나다 토론토,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일본 도쿄 등 16개 도시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들 도시는 쥐 목격 신고와 방제 건수 등 관련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공개하거나 요청 시 제공한 곳이다.
분석 결과, 전체 16개 도시 중 암스테르담, 오클랜드, 버팔로, 시카고, 보스턴, 캔자스시티, 신시내티 등 11개 도시에서 쥐 개체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기온 상승이 쥐 증가의 40%를 설명하는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또한 인구밀도가 높고 녹지공간이 부족한 도시일수록 쥐떼 창궐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뉴올리언스, 루이빌, 도쿄 등 3개 도시는 쥐 개체 수가 감소했다. 리처드슨 교수는 영국 일간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뉴올리언스의 경우 쥐 창궐 방지 교육이 효과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도쿄는 "문화적 규범과 청결함에 대한 기대가 높아 사람들이 쥐를 발견하면 곧바로 신고를 하는 경향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워싱턴DC는 부동산 관리자와 방제업체 직원을 대상으로 쥐잡기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개를 활용한 쥐 퇴치도 시도하고 있다. 뉴욕시는 '설치류 피해 감소 책임자' 채용에 나섰다.
워싱턴포스트는 "쓰레기봉투가 찢어진 채 방치되거나 쓰레기 수거함의 뚜껑이 안 닫혀 있는 등 쓰레기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도시에서는 쥐들이 날마다 포식을 한다"고 지적했다.
리처드슨 교수는 "런던, 파리 등 자료를 공개하지 않은 대도시들도 다른 곳에서는 상황이 다를 것이라고 생각할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