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가 올해 30만명 지원을 목포로 ‘2025년 충북형 도시근로자 지원사업’을 2월부터 시행한다고 3일 밝혔다.
도는 구인난을 겪고 있는 도내 중소기업, 소상공인 등과 경제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유휴인력을 매칭, 중소기업 등의 인력난 해소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 2022년 시범 운영을 거쳐 2023년 전 시·군으로 확대한데 이어 2024년 사회복지 시설, 사회적경제기업, 소상공인까지 사업 범위를 확대해 ‘충북형 도시근로자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도는 2025년을 도시근로자 사업의 대도약의 해로 삼고 대내외 어려운 경제 여건을 감안해 신속한 민생경제 회복과 도민 체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추경예산을 통해 연인원 30만 명 이상으로 사업을 대폭 확대 추진할 계획이다.
‘중소기업·사회복지시설’과 ‘소상공인 맞춤형’으로 크게 2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사업을 진행힌다. 민간 플랫폼(이폼사인)을 활용한 전자서명 확대와 행안부 행정정보공동이용 활성화를 통해 사업 신청자의 구비서류가 대폭 감소된다.
김두환 도 경제통상국장은 “도시근로자 사업은 단시간 근로를 선호하는 참여자는 물론 주부, 은퇴자 등 시간적 또는 체력적 제약이 있는 계층에게 근로 기회를 제공하는 전국 최초, 전국 유일의 틈새 일자리 사업”이라며 “사업의 성공적 안착을 넘어 금년도에는 신속한 민생경제 회복과 도민의 피부에 와닿는 혁신 일자리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충북형 도시근로자 지원사업’은 지난해 연인원 10만 5000명을 돌파하고 정부혁신 우수사례에 선정되는 등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올해 1월 충북연구원이 수행한 사업 성과분석 결과에서도 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기업중 95.2%가 사업에 만족했고 97.1%가 지원사업 재신청 의사를 밝혔다. 참여근로자 또한 95.3%가 지원사업애 재신청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