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개발사인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기존 클로즈드소스(폐쇄형) 방식의 AI 모델 방식을 고집하지 않고 소스코드를 개방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적은 비용으로도 빅테크에 필적하는 성능의 AI 모델을 내놓아 전 세계를 충격에 빠트린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오픈소스(개방형)를 기반으로 생태계를 확장하는 것에 대응하려는 취지로 분석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올트먼 CEO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레딧 주최 행사에서 AI 모델 관련 기술 일부를 공개하고 연구결과 발표를 늘릴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내부적으로 가능성을 논의 중”이라고 답했다. 그는 “우리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와 관련해) 역사의 잘못된 편에 서 있었다”며 “다른 오픈소스 전략을 만들어낼 필요가 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오픈AI의 모든 직원이 이 견해를 공유하는 것은 아니며 현재 우리의 최우선 과제도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단서를 달긴 했지만 오픈소스 방식에 대한 이 같은 입장 변화는 중국 딥시크의 급부상에 대한 전략적인 대응으로 해석된다.
딥시크의 AI 모델 ‘R1’은 천문학적 규모의 자금을 쏟아붓는 미국 빅테크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개발됐고, 오픈소스 방식을 채택해 누구나 자유롭게 기본 코드 등을 바꿀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부분적으로 오픈소스 방식을 택한 메타플랫폼 정도를 제외하면 미국 주요 기업들은 자사 모델에 대한 정보 공개를 꺼리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특히 오픈AI는 2015년 창사 당시에는 공익에 부합할 경우 연구 결과와 데이터를 공개하겠다고 밝혔지만 이후 경쟁 격화와 안전상 위험을 이유로 입장을 바꾼 상태다.
한편 올트먼 CEO는 이번 주부터 한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를 방문해 투자자와 개발자 등을 만난다. 3일 일본을 찾아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를 만난다. 특히 일본 기업 500여곳이 모인 자리에서 소프트뱅크와 오픈AI가 추진하는 일본 AI 인프라 구축 사업 참여도 촉구할 계획이다. 4일에는 서울에서 열리는 오픈AI의 개발자 워크숍에 참석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