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하시마(군함도) 탄광에 조선인을 강제 동원한 사실을 여전히 은폐하는 데 급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심사 과정에서는 주변국 반대를 무마하려 과거사를 인정하는 듯하다 등재된 뒤 모르쇠로 일관하는 식이다. 일본에 계속 뒤통수를 맞은 외교부는 ‘유감’만 연발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일본이 제출한 군함도 등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관련 후속조치 보고서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위원회는 지난해 9월 일본에 세계유산 등재 과정에서 관련국과 한 약속 이행 상황을 보고하라고 요청했다.
한국은 2015년 군함도의 세계유산 등재 당시부터 전시관 등에 조선인 강제 동원 사실을 명확히 알릴 것을 촉구했지만 일본은 10년이 되도록 외면한 것으로 보고서에 드러났다. 강제노역 희생자를 기리는 정보센터 전시물에는 조선인 차별이나 인권침해가 있었다는 사실이 부각되지 않았다. 한국이 요청한 피해자의 증언 전시는 관련 자료집을 서가에 비치하는 식으로, 강제노역의 전체 역사 설명은 해설사 역량 강화 조치로 대체됐다.
외교부는 “세계유산위원회의 거듭된 결정과 일본 스스로 약속한 후속 조치들이 충실히 이행되지 않는 데 대해 다시 한 번 유감을 표한다”며 약속 이행을 촉구했지만 강제성이 없는 데다 일본이 수용할 가능성도 희박하다.
일본은 지난해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하며 한국의 동의를 구하기 위해 매년 일본 정부가 참여하는 추도식을 개최하고 전시관에 강제동원 내용을 담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사도광산 노동자 전시물에 ‘강제’ 표현은 빠졌고, 차일피일 미룬 추도식 역시 한국과 교감 없이 추진하다 파행했다.
일본의 진정성에 기대 군함도와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에 동의한 한국은 계속 뒤통수를 맞은 셈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일본이 계속 합의사항을 이행하지 않는다면 한국인 강제동원 역사가 있는 유산의 추가 등재는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