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 직원 식당마저 대만산 쌀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레이와의 쌀 소동' 이후 이어지는 쌀값 급등 영향이다.
13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은행이 작년 12월부터 직원 식당 메뉴에 일본산 쌀 대신 가격이 저렴한 대만산 쌀을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직원들 사이에서는 "밥맛이 달라졌다", "쌀값 폭등이 여기까지 영향을 미쳤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레이와의 쌀 소동'은 1993년 '헤이세이 쌀 소동' 이후 30년 만에 재현된 쌀 부족 대란이다. 지난해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기준 쌀류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63.6% 급등해 197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햅쌀이 출하된 이후에도 가격이 좀처럼 내려가지 않아 일본은행 조사통계국이 별도 조사에 나선 상태다.
쌀값 급등은 지난해 여름부터 본격화됐다. 폭염으로 인한 쌀 유통량 감소, 외국인 관광객 증가, 지진에 따른 사재기가 겹치며 도시 대형 슈퍼마켓을 중심으로 품절 사태가 잇따랐다. 유통업체들의 쌀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가격은 전년 대비 20~30% 상승했다.
이에 일본 내 쌀 유통의 절반을 차지하는 일본 농협(JA그룹)은 니가타, 홋카이도 등 주요 산지의 수매가를 전년 대비 20~40% 인상했다. JA와 경쟁하는 쌀 집하업체들은 이보다 더 높은 수매가를 제시하며 쟁탈전이 가열됐다.
당초 일본은행은 햅쌀 출하와 함께 가격이 안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쌀 쟁탈전이 장기화되면서 고공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니혼게이자이는 "사업자 간 매입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수요는 크게 줄지 않아 긴박감이 고조되고 있다"며 "앞으로 수개월간 높은 가격대가 유지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쌀값 폭등은 기업 경영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작년 12월 전국기업단기경제관측조사에서 대기업 소매업황판단지수(DI)는 13을 기록, 9월 대비 15포인트 하락했다. 일본은행 관계자는 "쌀값 상승이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외식업계도 가격 인상에 나섰다. 젠쇼홀딩스의 규동 체인 '스키야'는 지난해 11월 말부터 전체 메뉴의 60%가량 가격을 올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