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겨울 첫눈부터 대설을 기록하면서 27일 서울에 20㎝ 안팎의 많은 눈이 쌓였다. 1907년 10월 서울에서 근대적인 기상관측을 시작한 이래 11월 적설 최고치다.
이날 오전 8시까지 서울(종로구 서울기상관측소 기준) 일최심 적설은 오전 7시에 기록된 16.5㎝이다. 기존 서울 11월 일최심 적설 기록은 1972년 11월 28일의 12.4㎝이다.
일최심 적설은 하루(0~24시) 중 눈이 가장 많이 쌓였을 때 눈의 깊이를 뜻한다. 이런 개념을 사용하는 이유는 눈이 쌓인 뒤 녹기도 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오전 9시 기준 서울 적설은 15.0㎝로 다소 낮아졌다.
월과 상관 없이 서울에 가장 많은 눈이 쌓였을 때는 1922년 3월 24일로 당시 일최심 적설은 31.0㎝를 기록했다.
서울의 적설 등 기상기록 대푯값은 서울기상관측소에서 측정된 값으로 한다.
이날 서울기상관측소 외 구(區)별 일최심 적설을 보면 성북구와 강북구에 오전 7시 기준으로 20.6㎝와 20.4㎝ 눈이 쌓였다. 서대문구(17.2㎝)와 도봉구(16.4㎝), 은평구(16.0㎝), 마포구(14.1㎝), 관악구(12.2㎝), 동대문구(12.0㎝), 노원구(11.4㎝) 등에도 10㎝가 넘는 적설이 기록됐다.
전날 내린 눈을 제외하고 27일 0시부터 내린 눈만 따져도 최심 적설이 역대 최고치다. 이날 서울 일최심 신적설은 15.8㎝로 종전 최고치(1966년 11월 20일 9.5㎝)보다 6㎝ 이상 많다. 신적설은 일정 기간 새로 내려 쌓인 눈의 양을 말한다.
이 같이 서울에 많은 눈이 쏟아진 근본 원인 중 하나로 한반도 북쪽에 자리한 절리저기압이 꼽힌다.
절리저기압은 대기 상층의 매우 빠른 바람인 제트기류가 매우 구불구불하게 흐를 때 그 일부가 분리되면서 형성된다. 북극의 찬 공기를 머금어 매우 차고 대기를 불안정하게 만든다.
북서쪽에서 내려온 찬 공기가 상대적으로 따뜻한 서해상을 지나면서 ‘해기차(대기와 바닷물 간 온도 차)’에 의해 눈구름대가 만들어졌다. 현재 서해 해수면 온도는 14∼16도로 찬 북풍 계열 바람이 지날 때 구름대가 발달하기 좋다.
다만 이 같이 만들어진 눈구름대는 주로 충남과 호남에 많은 눈을 쏟아부었다. 겨울철 우리나라로 부는 찬 바람은 북풍이나 북서풍인 탓이다.
그러나 이번에는 절리저기압에서 내려온 찬 공기가 가라앉으면서 백령도 부근에 기압골을 형성시켰고 이 기압골이 수도권을 지났다. 기압골은 눈구름대를 더 발달시키면서 서해상 눈구름대를 수도권으로 끌어들였다.
28일 오전까지 전국적으로 눈과 비가 내리겠다. 특히 이번 눈은 내렸다가 그치기를 반복하겠다. 서해상에서 눈구름대가 유입될 때 쏟아지고 구름대 유입이 멈추면 잦아드는 것이다.
기상청은 27일 밤부터 28일 오전까지 서해상에서 다시 눈구름대가 들어오면서 수도권과 강원내륙·산지, 충청내륙, 전북동부, 경북북부내륙, 경남북서내륙에 습기를 머금은 무거운 눈이 다시 쏟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