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 중동 국가들의 원유 감산과 원유 가격 인상으로 1차 오일쇼크가 발생하자 전 세계가 고물가와 저성장·보호무역주의에 시달렸다. 당시 세계 경제를 주름잡던 미국·영국·서독·프랑스 재무장관들이 이를 해결하려고 모였다. 여기에 미국의 추천으로 일본까지 참여하면서 주요 5개국(G5) 재무장관 모임으로 불렸다. 1975년에는 이탈리아까지 참여하는 정상회의로 격상됐다. 주요 6개국(G6) 정상회의가 출범한 것이다. 자유민주주의 가치를 공유하는 선진국 중에서 경제 대국 정상들의 모임이었다. 1976년에는 캐나다가 참여해 G7, 1998년에는 러시아가 추가돼 G8가 됐다. 러시아는 보리스 옐친 대통령 당시 옵서버로 참석해 1998년 정회원이 됐지만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집권한 2014년 크림반도를 강제 합병한 뒤 축출당했다.
G7에 한국을 추가 가입시켜야 한다는 의견들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최근 “한국과 호주를 포함해 G9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보고서를 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재집권 시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후보로 거론되는 엘브리지 콜비는 “필요하면 캐나다를 빼고 한국을 넣는 것도 지지한다”고 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최측근인 론 클레인 전 백악관 비서실장도 지난해 11월 “한국과 호주를 G9으로 추가해야 한다”고 밝혔다. 2020년에는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포함’ 의견을 냈으나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문재인 정부가 중국·북한에 모호한 입장을 보인다”며 반대했다.
2021년 유엔에서 한국의 지위가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바뀌었다.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인구 5000만 명을 넘는 ‘30-50클럽’ 7대 강국의 하나가 됐다. 하지만 저성장, 저출생·고령화, 중국의 추격 등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는 것도 분명하다. 영토가 좁고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가 G9 수준의 경제 강국으로 도약하려면 국력을 결집하고 구조 개혁을 성공시키면서 초격차 기술을 개발해 신성장 동력을 점화해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