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은 제78회 식목일을 앞두고 2050 탄소중립과 2030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위해 서울 남산 면적의 74배에 달하는 2200여㏊에 4900만 그루의 나무를 심을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경제림육성단지 등에 1만4000여㏊의 경제림을 조성하고 지역특화조림, 밀원수림 조성을 통해 단기소득과 산림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예정이다.
또한 도로변·생활권 경관 조성을 위한 나무심기와 2021∼2022년 발생한 대형산불 피해지의 조속한 복원을 위한 나무 심기, 대형산불로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내화수림대 조성도 적극 추진한다.
큰나무조림 2564㏊, 대형산불피해지 조림복원 3884㏊, 내화수림대 조성 351㏊를 각각 추진한다.
이 밖에 도심권내 쾌적한 녹색공간 조성을 위해 바람길숲, 생활밀착형 숲, 무궁화동산, 나눔숲 등이 조림사업과 함께 추진된다. 국유지 도시숲 13㏊, 생활밀착형 숲 103㏊, 도시바람길숲 17㏊, 무궁화동산 24㏊, 자녀안심그린숲 80㏊, 나눔숲 27㏊를 각각 조성한다.
봄철 나무심기 추진기간은 남쪽의 2월 하순부터 북쪽의 4월 하순까지이며 토양 상황 등 지역별 여건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추진한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올해는 국토녹화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지 50년이 되는 아주 뜻깊은 해”라며 “지난 50년의 성과를 바탕으로 나무심기를 통해 탄소중립과 숲으로 잘사는 대한민국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