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선주 영업력이 부족한 부산 중소형 조선소가 해외 소형선박 건조를 수주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부산시는 ‘해외 소형선박 수주 패키지 지원사업’을 확대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올해는 사업을 확대해 지역 중소형 조선소의 건조 실적에 기반한 맞춤형 선박을 선정한 후 해외영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또 국내 중소형 조선소의 영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이 개발한 수주공동망에 적용 가능한 디지털 영업설계 기술도 개발할 계획이다.
수주공동망은 신조 프로젝트 발굴에서부터 영업설계, 기자재 조달 등 선박 수주 과정에서부터 수주 계약체결까지 모두 지원한다.
이 사업은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과 부산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 부산해양엔지니어링산업협회가 2021년부터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으로, 산업통상자원부와 부산시가 매년 8억 원 규모로 지원하고 있다.
2021년 750억원 규모의 선박 1척 수주를 성사시켰고 지난해는 53억원 규모의 선박 1척 수주를 지원했다.
국내 선박 건조기업의 96%에 달하는 중소형 조선소는 대형 조선소와 달리 영업 네트워크와 인적·물적 역량 부족으로 해외 시장개척에 어려움이 컸다.
사업 총괄책임을 맡고 있는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의 박재현 박사는 “국내 조선산업이 중소 조선은 사라지고 대형 조선만 살아남는 불균형과 그로 인한 산업 생태계의 붕괴 위험 방지를 위해서는 중소조선 및 설계, 기자재 기업에 대한 지속적 지원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시 관계자는 “해외 선박 수주는 부산 소재 중소형 선박 설계, 엔지니어링사, 기자재 기업이 일감을 확보하고 상생할 수 있는 매우 의미 있는 성과”라며 “앞으로도 관련 연구기관, 업체와 지속해서 협력해 성과를 확대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