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소상공인 손실보상금 지급 신청이 시작된 27일 “손실보상에서 제외된 피해 업종이나 인원 제한에 대한 보상 관련 보완책을 찾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송 대표는 이날 경기지방중소기업청에서 진행한 소상공인 손실보상 현장 방문 인사말에서 “상처를 보듬기에는 상당히 부족하지만 일단 손실보상법 1차 보상으로 80만 사업체에 약 2조 4,000억 원이 지급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지난 2년 동안 전국 670만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의 인내와 고통에 대해 위로를 드리고 감사를 드린다”며 “K-방역은 이러한 여러분의 희생과 협력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라고 강조했다.
또 “단계적 일상 회복을 위한 로드맵을 발표하고 다음주부터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해나갈 것”이라며 “공공의료와 보건의료 인력을 대폭 확충하는 노력을 하겠다”고 약속했다.
앞서 송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오늘부터 2조 4,000억 원 정도의 소상공인 손실보상 신청을 시작한다”며 “좀 미흡하지만 600조 원에 달하는 예산을 통과해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코로나 일상 회복을 위해 공공의료 보건 노동자들의 엄청난 수고가 필요한데 이에 대한 충분한 예산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며 “공공 의료 확충과 의료지원 인력, 교육 전담 간호사 확보 문제 등도 차질없이 되도록 당에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힘줘 말했다.
민주당 ‘코로나 일상회복 태스크포스(TF)’도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 예산을 확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TF 간사인 신현영 의원은 이날 “(문재인) 대통령이 시정연설에서 소상공인 실손 지급 부분 외에도 간접 피해 등 두터운 지원 필요성을 제기한 것처럼, 당에서도 예산 심의 과정에서 이 부분을 확대 논의하겠다”고 설명했다.
TF 단장 김성환 원내수석부대표 역시 “손실보상에서 빠져 있는 인원 제한 업종, 간접 피해 업종에 대한 피해 지원 방안도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