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구 도심에는 잃어버린 공간이 있다. 송현동 48-9번지다. 경복궁과 덕성여고 사이에 있고, 서울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이나 안국역과도 가깝지만 서울시의 도시계획상 이곳은 여러 차례 개발 시도가 무산돼 현재는 풀과 나무만 무성한 도심 속 공터다. 담벼락에 막혀 시민들이 드나들지도 못하는 곳이다. 광복 이후 1997년까지 주한미군대사관 직원 숙소 부지였지만 이후 땅주인은 정부와 여러 회사를 거쳤다. 한옥 호텔이나 융합복합센터 등의 건립을 추진했지만 무산됐다. 현재 미술관, 도시 공원 등 사회 각층에서 활용 아이디어가 쏟아지고 있다. 그만큼 입지가 뛰어나다는 의미기도 하다.
경기대학교의 최형록 씨는 송현동 땅을 도시 공원으로 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계획의 이름은 ‘소나무 파크’다. 최 씨는 송현동 일대를 관광과 상업기능이 일어나는 동시에 역사와 문화까지 간직해 시민들이 다양한 활동을 벌일 수 있는 공간으로 봤다. 최 씨가 이곳을 여러 시민들이 함께 누리는 도시공간으로 제안한 이유다.
최 씨가 제안한 형태는 뉴노멀 도시 공원이다. 도심 빈 공간인 송현동을 평면 공간이 아니라 ‘부지의 양 대각선 끝을 손으로 잡고 끌어올리면 어떨까’하는 상상력을 바탕으로 입체적인 형태의 도시 공원을 계획했다. 바닥은 물론 평평한 그대로이며 그 위로 여러 층의 곡선형 보행로와 공간을 쌓는 식이다. 이를 테면 시민들이 진입과 출입을 하는 부분은 바닥층으로 두고 이곳에서 출발해 양 끝으로 상승하는 보행로로 향할 수 있는 식이다. 걷다가 더 높은 층의 보행로로 옮겨갈 수 있고, 또 내려갈 수 있는 구조를 제안했다. 그저 땅 위 높이에서 거닐던 공원에 입체감을 부여해 도시 공원을 걸으면서 3~4층 높이에서 도심 풍경을 바라볼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최씨는 “굳이 공원에 가지 않더라도 인근 오피스 등에서 공원을 바라보면 심리적, 시각적 풍요로움을 느낄 수 있으며 공원에 진입하면 그 공간감이 더해져 더욱 풍요로운 도시 풍경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