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수도권매립지 운영 종료를 대비해 추진하는 친환경 자체 매립지의 명칭이 ‘인천 에코랜드’로 확정됐다. 현재의 직매립 방식도 변경해 소각재만 매립하는 친환경 방식으로 조성될 예정이며 하루 반입량도 161톤으로, 20톤 트럭 약 8대에 불과할 전망이다.
5일 인천시는 오는 2025년 수도권매립 종료를 대비한 ‘인천 에코랜드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시 관계자는 “인천 에코랜드는 폐기물 발생지 처리원칙에 따라 인천지역에서 발생된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반드시 설치해야 할 필수시설”이라고 말했다.
시에 따르면 수도권매립지는 1,600만㎡의 면적에 매립용량만 2만2,981만톤에 달하고 노상에 폐기물을 직매립하는 후진국형 매립방식으로 운영되면서 악취와 침출수 발생 등으로 주변 지역에 환경피해를 야기했다. 반면 인천 에코랜드는 부지면적이 15만㎡ 미만이고, 용량도 234만㎥ 규모로 수도권매립지의 10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매립시설은 4단계로 나눠 조성될 예정이며 실제 매립시설은 1단계 용량인 60만㎥ 내외로 조성된다. 특히 현재와 같이 생활폐기물을 직매립하는 방식이 아니라 생활폐기물을 소각한 후 발생하는 소각재와 불연성폐기물만 매립하게 된다. 또 분리수거 확대, 생활폐기물·하수슬러지 소각재의 벽돌·보도블록 재활용 등 폐기물 정책 방향을 변경해 하루 약 161톤의 소각재와 불연성폐기물만 반입될 예정이다. 이는 20톤 트럭 8대 분량에 불과하며 지난해 기준으로 수도권매립지 1일 생활폐기물 반입량(약 2,164톤)의 7.4% 수준으로 단계별로 10년씩 약 40년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인천 에코랜드는 지하 약 40m 깊이에 점토처리와 고강도 차수막을 설치해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조성되며 아랫단부터 단계별로 매립이 진행된다. 매립시설 상부 역시 돔형식 또는 건축물 형태로 만들어 지하와 지상 모두 주변 지역과 완벽하게 차단된다. 직매립이 아닌 지하매립, 에어돔 또는 건축물 형식은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친환경 매립방식으로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매립지를 철저히 분리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 관계자는 “인천 에코랜드는 매립이 종료된 뒤에는 돔을 철거하고 공원 또는 야외체육시설 등으로 조성하거나 건축물 형태의 경우 실내 체육시설로 바꿔 지역 주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