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 부시장은 김 전 시장 재임 당시 울산시 교통건설국장 등을 지내다 지난 2015년 퇴임했다. 이후 지난해 6월 송철호 시장 후보 캠프로 옮긴 후 지난해 8월부터 경제부시장으로 재직 중이다.
청와대는 이날 오후 브리핑을 열고 김 전 시장 첩보 제보 및 이첩 경위를 설명했다. 청와대는 해당 첩보가 청와대 외부 인물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제보를 바탕으로 만들어졌고 숨진 전 특감반원은 해당 첩보 처리 과정과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2017년 10월께 당시 민정비서관실 소속 행정관 A씨가 제보자로부터 스마트폰 SNS를 통해 김기현 전 울산시장 및 그 측근 등에 대한 비리 의혹을 제보받았다”며 “A 행정관은 제보 내용이 담긴 SNS 메시지를 복사해 e메일로 전송한 후 출력했다. A 행정관은 외부 메일망의 제보 내용을 문서 파일로 옮겨 요약하고 일부 편집해 제보 문건을 정리했으며 그 과정에서 새로 추가한 비위 사실은 없다”고 말했다. 외부 인물의 제보를 받은 청와대 민정비서관실 소속 A 행정관이 양식을 일부 수정해 백원우 당시 민정비서관에게 보고했고, 이후 소관 비서관실인 반부패비서관실로 전달돼 경찰에 이첩됐을 것이라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청와대는 이 과정에서 고래고기 사건을 조사한 고인이 작성에 참여했다고 알려진 ‘국정2년차 증후군 실태점검 및 개선방안 보고서’를 언론에 배포하기도 했다. 통상 대외비로 작성되는 내부 보고서를 이례적으로 언론에 공개하며 적극적으로 논란 진화에 나선 것이다. 2018년 1월18일로 작성일자가 적힌 이 보고서에 따르면 민정수석실 행정관 38명은 총 48개 부처 81명의 공직자를 대상으로 부처 간 상호 엇박자 및 공직기강 이완 등의 사례를 점검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제보 접수 경위를 설명하던 중 검찰 조사를 앞두고 숨진 전 민정비서관실 소속 특감반원을 언급하며 울먹이기도 했다. 이 관계자는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A 행정관 본인이 제보를 접수했다는 사실을 떠올린 시점이 며칠 안 됐다. (고인이 된 수사관이) 그렇게 되기 전에 확인을 했으면 좋았을 텐데…”라며 잠시 눈시울을 붉혔다.
/양지윤기자 ya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