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대(對)한국 수출 규제와 관련해 청와대 국가안보실도 관련 업계 관계자를 만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4일 청와대에 따르면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은 전날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반도체 부문장)을 비롯한 삼성 관계자를 만났다. 통상교섭본부장을 지낸 김 차장이 직접 나선 것은 일본의 경제보복이 국가 기간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정책실과 더불어 국가 안보 차원에서도 대응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도 지난 2일 김 부회장을 만나 의견을 주고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 실장은 전날 국회에서 열린 고위당정협의회에 참석해 “기사를 보자마자 5대 그룹 등에 전화해 ‘국익을 위해서는 정부와 재계가 함께 소통·협력해야 한다’는 뜻을 전달하고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같은 날 있었던 방송사 보도본부장 오찬 간담회에서도 김 실장은 정부가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롱리스트’를 작성했다고 밝히며 “정부가 손 놓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충분히 예상했던 품목인 만큼 잘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일본에서만 수입해야 하는 소재나 부품들을 골라내니 긴 리스트가 나왔다. 그 중에서 1,2,3번째에 해당하는 품목이 이번에 일본이 규제한 품목”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이 같은 수출 규제 조치가 ‘한국의 약속 위반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아베 총리는 전날 일본기자클럽 초청 여야 7당 당수 토론회에서 “상대국(한국)이 약속을 지키지 않는 상황에선 지금까지의 우대조치를 취하지 않겠다는 것”이라 발언했다.
/양지윤기자 ya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