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 다음 달 1일 기무사를 대체하는 군사안보지원사령부가 창설되기 전 30% 이상 인원감축 계획에 따라 1,000여명 규모의 추가 원대복귀가 뒤따를 전망이다.
국방부 군사안보지원사령부 창설준비단의 한 관계자는 22일 “금주 내 기무사 불법행위 관련자에 대한 원대복귀 조치가 이뤄질 예정”이라며 “이번에 원대복귀 조치되는 인원은 200~300명 규모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안보지원사 창설준비단은 금주 내 불법행위 관련자 분류 작업을 마무리하고 이달 24일께 송영무 국방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 관련자를 원대복귀 조치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불법행위 관련자로 원대복귀 조치된 기무사 요원은 소강원 참모장(육군 소장)과 기우진 5처장(육군 준장) 등 장성 4명을 포함해 28명이다.
200~300명에 달하는 이번 원대복귀 조치 대상에는 계엄령 문건과 세월호 민간인 사찰, 댓글공작 등 3대 불법행위 관련자가 두루 포함된다. 불법행위 관련자로 분류되지 않았더라도 인원감축 계획에 따라 1,000여명의 기무사 요원이 안보지원사에 남지 못하고 육·해·공군으로 돌아가야 한다. 새로 창설되는 안보지원사는 2,900여 명 규모로 현재 기무사 인원 4,200여명에 비해 1,300여명 줄어든 규모로 출범한다.
국방부 당국자는 “안보지원사 창설에 따른 원대복귀자에 대해 숙소지원, 보직상담 등의 지원사항을 각 군과 협업해 최대한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내달 창설되는 안보지원사의 초대 사령관은 남영신 현 기무사령관(육군 중장)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는 안보지원사령관의 계급을 중장으로 유지하면서 9명인 장성 수는 3~4명 정도 줄일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