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은 신임 농림장관 임명을 계기로 농어민 지원 등 주요 국정과제에 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이 정치인 출신인 이 의원을 발탁한 배경은 우선 정치인을 예우하는 국회 관례상 인사청문회 통과 가능성이 높고 이 의원이 행정과 정치를 두루 경험해 향후 정책 추진 과정에서 유관 부처 및 여야로부터 협조를 얻기 유리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신임 후보자는 1959년 전남 담양 출신으로 금호고와 전남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행시 24회에 합격했으며 전라남도 행정부지사와 19·20대 국회의원으로 활동해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 후보자에 대해 “쌀수급 문제, 고질적인 조류인플루엔자(AI), 구제역 발생 등 당면한 현안 문제를 잘 해결하리라 기대한다”며 “농림축산업의 미래경쟁력을 한층 강화시켜 나갈 적임자”라고 소개했다.
이번 인선으로 정치인 입각에도 한층 탄력이 붙게 됐다. 이 후보자가 향후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 임명되면 현 정부 들어 9번째 정치인 입각 사례가 된다. 청와대는 최근 협치내각 추진 입장을 밝히며 사실상 야권과의 연정 가능성도 타진 중이다. 야당 중 어느 범위까지 입각 제의 수용하느냐에 따라 최소 3~4자리의 장관직이 바뀌는 중폭 개각이 단행될 것으로 보인다. 단행시기로는 바른미래당 이 8월 전당대회를 마친 후가 유력시 된다. 다만 야권이 협치의 우선 조건으로 신뢰 구축을 내세우고 있며 야당을 겨냥한 적폐청산 작업 등을 문제삼고 있다는 점이 변수다. /민병권기자 newsroo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