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걸프 3국은 공동성명을 내고 “3국이 요르단에 최대 25억달러 규모의 경제 지원 패키지를 제공하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지원 패키지에는 요르단 중앙은행 예치금, 세계은행 보증, 5년간 예산 지원, 개발사업을 위한 파이낸싱 등이 포함됐다.
인구 1,000만명의 요르단은 걸프국과 달리 에너지 자원이 없어 동맹인 미국 등의 지원에 의존해왔다. 그러나 시리아 내전으로 100만명이 넘는 난민을 수용하면서 최근 재정난이 심화했고 급기야 지난 2016년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7억2천300만달러(약 7천753억원)의 구제금융을 받기에 이르렀다. 이후 요르단 정부는 IMF의 권고에 따라 개혁을 추진하며 긴축정책을 폈으나 보조금이 줄고 소비세가 올라 생활물가가 치솟았다. 여기에 올해 근로 인구의 18.5%가 실업 상태인 데다, 치솟는 물가에 대한 불만이 커지는 상황에서 정부가 최근 소득세와 공공요금 인상을 추진하자 반발한 시민들이 지난달 말부터 연일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결국 총리가 사임하고 정부가 소득세 인상안을 철회하기에 이르렀지만 시민들의 불만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요르단 시위가 체제 개혁 요구로 비화할 조짐을 보이자 역내에 이런 움직임이 번지는 것을 우려한 사우디 살만 국왕을 비롯한 걸프 3국 지도자들과 압둘라 요르단 국왕은 이날 사우디 메카에서 지원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현호기자 hhle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