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가 있다. 우선 구멍이 너무 크다.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은 시중은행에만 적용됐을 뿐 제2금융권은 열외로 인정됐고 재건축·재개발에서 적용되는 집단대출도 소득심사 대상에서 빠졌다. 부작용도 갈수록 커졌다. 서민들은 시중은행에서 돈 빌릴 길이 막힌데다 원리금 상환 부담까지 떠안으며 저축은행을 포함한 비은행권으로 대거 떠밀려 나갔다. 3·4분기 제2금융권의 대출 증가액이 11조원에 달했다는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이자 부담이 큰 제2금융권의 대출액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가계대출 부실화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 최근 금리까지 가파르게 오르고 있으니 가계부채 경고음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위기감을 느낀 정부가 8·25대책 이후 석달 만에 후속대책을 내놓았다. 규제에서 빠졌던 집단대출과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주택담보대출의 소득심사를 강화하고 처음부터 원리금 분할상환을 적용한다는 게 골자다. 정부는 효과를 자신하지만 결과는 지켜볼 문제다. 더군다나 대출을 조이면서 소득은 적고 빚은 많은 한계가구가 늘 수 있다는 점이 우려된다. 자칫 금리 상승이 본격화할 경우 그 충격은 이들뿐 아니라 금융권 전체로 번질지 모른다. “금리가 상승하고 소득 증가세가 둔화되면 가계의 재무건전성이 단기간에 악화할 수 있다”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경고를 허투루 들어서는 안 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