쯔쯔가무시증은 환자의 90%가 가을철에 발생한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감염되는 쯔쯔가무시증 환자는 44주(2016년10월23일∼10월29일)에는 942명이었지만 45주(10월30일∼11월5일)에는 2,487명, 46주(11월일~11월12일) 2,631명으로 환자 수가 급증했다. 올해 전체 쯔쯔가무시증 환자는 지난 13일 기준 8,023명으로 이미 지난해 같은기간 발생한 환자 수(7,545명)를 초과했다.
쯔쯔가무시증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진드기 매개 감염병 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감염병이다. 진드기에 물리고 1~3주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데 초기 증상은 심한 두통으로 시작되며 그 후 수 시간 내에 오한을 동반한 고열이 뒤따르고, 심한 발열, 오한과 복통, 오심, 구토를 동반한다.
쯔쯔가무시증은 주로 진드기에 노출되기 쉬운 농촌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감염되기 쉽다. 이를 예방하려면 야외활동과 농작업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긴팔, 긴바지를 입고 풀밭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말아야 한다.
진드기가 묻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도 피해야 하며 시중에 판매되는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야외활동을 마치면 옷은 세탁하고 샤워나 목욕을 통해 몸에 붙어 있을 수 있는 진드기를 모두 털어내는 것이 좋다.
쯔쯔가무시증은 조기에 치료하면 합병증 없이 완치가 가능하지만 기관지염, 폐렴, 뇌막염, 심근염으로 진행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야외활동 1~3주 뒤, 심한 두통과 고열 등이 동시에 나타나면 서둘러 병원으로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정승희인턴기자 jsh0408@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