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한국석유공사와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227만5,661대였던 LPG 등록차량은 올해 8월 221만9,370대로 5만6,291대 감소했다.
같은 기간 휘발유 등록차량이 23만5,037대 늘면서 1,019만9,836대가 되고, 경유 등록차량이 39만1,905대 증가하며 901만4,207대가 된 것과는 대조적이다.
연료별 등록차량의 월 평균 증감을 봐도 이런 추세는 마찬가지다. 2014년 휘발유 차량은 월 평균 1만8,465대, 경유 차량은 4만5,248대 증가했고, 2015년에도 휘발유는 2만1,539대, 경유는 5만6,963대 늘었다.
올해도 8월까지 휘발유 차량은 월 평균 2만9,380대, 경유 차량은 4만8,988대가 증가했다.
반면 LPG 등록차량은 2014년 월 평균 4,624대, 2015년엔 6,613대, 올해는 8월까지 월 평균 7,036대 감소했다. 갈수록 감소 폭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현재 추세가 이어지면 연말까지 LPG 등록차량은 지난해 말보다 8만대 이상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LPG 차량의 감소는 이들 차량의 경우 국가유공자나 장애인, 택시, 렌터카 등만 이용할 수 있도록 제한이 있는 데다, 자동차 제조사들도 많은 차종을 내놓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또 내년 1월부터는 일반인도 등록한 지 5년이 넘은 중고 LPG 차량을 소유할 수 있도록 법이 개정됐지만 LPG 차량의 감소 추세를 되돌리는 데는 역부족인 셈이다.
LPG 차량의 감소에 가장 속이 타는 것은 LPG 업계다. 수송용 LPG가 전체 LPG 수요의 40%가량을 차지하는 기반 수요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LPG 업계는 최근 LPG 전체 사용량의 증가에도 불안해 하고 있다. 최근 LPG 수요 증가는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측면이 크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1∼8월과 올해 1∼8월의 LPG(프로판·부탄 포함) 소비량을 용도별로 보면 석유화학용은 지난해 104만3,000톤에서 올해 198만6,000톤으로 90.4% 증가했고, 산업용도 49만4,000톤에서 63만1,000톤으로 27.7% 늘었다.
반면 수송용은 247만8,000톤에서 234만6,000톤으로 5.3% 감소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LPG 소비 증가의 주된 원인은 LPG 가격 경쟁력으로 인한 석유화학 원료용 소비량이 급증했기 때문”이라며 “하지만 이 중 상당 부분은 납사(나프타)와 대체 관계여서 고정적인 수요라고 보기 힘들다”고 말했다. 이어 “LPG 차량은 경유차보다 미세먼지 배출이 적어 미세먼지 감축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며 “정부에서도 이런 부분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