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청래·주승용 새정치민주연합 최고위원 간 '설전'의 불길이 문재인 당 대표에게로 옮겨붙고 있다. 당의 어른 격인 4선 의원들은 12일 조찬모임을 통해 "문 대표가 비선정치를 중단해야 한다"며 문 대표의 당 운영방식에 제동을 걸었다. 아울러 비노무현계는 "문 대표가 정 최고위원을 출당 조치하지 않을 경우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다"고 문 대표를 압박했다.
박병석 새정연 의원을 중심으로 한 4선 중진 의원 9명은 이날 이례적으로 모임을 갖고 문 대표의 독자적 당 운영을 공개 비판했다. 박 의원은 모임 직후 기자들과 만나 "당 지도부는 모든 의사결정을 공식 기구에서 공개적으로 결정할 것을 촉구한다"며 "보다 광범위한 의원들의 폭넓은 의견 수렴을 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앞서 비노계는 문 대표가 일정을 계획하거나 현안을 판단할 때 당 최고위원들에게 동의를 구하지 않았다며 "문 대표가 친노 비선조직으로 당을 운영한다"는 불만을 터뜨렸다.
그럼에도 당 중진들은 문 대표의 대표직 사퇴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비공개로 진행된 이날 모임에서 문 대표의 사퇴 문제를 두고 일부 의원 간 고성이 오가기도 했지만 취임 100일도 되지 않은 문 대표에게 모든 책임을 돌리는 것은 옳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박 의원은 이 같은 중진들의 충고를 문 대표를 찾아 전달했고 문 대표는 "수용할 점은 수용하겠다"고 고개를 숙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표의 사퇴를 촉구하는 일부 비노계의 목소리가 중진 의원들의 '시기상조'라는 판단으로 수그러들 모양새지만 정·주 최고위원 간 '설전'의 여파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 최고위원의 사과를 주 최고위원이 받아들였지만 주 최고위원이 속한 민주당집권을위한모임 등에서 정 최고위원의 탈당 조치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동철 의원은 이날 본회의 직전 열린 의총에서 "문 대표의 사퇴는 바람직하지 않지만 정 최고위원의 탈당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저를 비롯한 동료 의원들과 결단을 내릴 것"이라며 "문 대표가 말한 당의 변화와 혁신을 위해서라도 정 최고위원의 탈당 조치는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