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글로벌 기업 수 증가세가 지난 10년간 정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포춘 글로벌 500에 포함된 한국기업의 수가 2004년 11개에서 지난해 14개로 10년동안 3개가 늘어나는데 그쳤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중국이 같은기간 15개에서 89개로 74개가 늘어난 것과 대조적이다. 같은 기간동안 인도역시 4개에서 8개로 4개가 늘었으며 브라질도 5개, 러시아도 4개가 늘었다.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하는 파이낸셜타임즈 글로벌 500의 경우에도 중국은 37개(8개→45개), 인도는 10개(2개→12개), 브라질은 8개(2개→10개)의 급증세를 보인 반면 우리 기업은 3개에서 5개로 2개가 늘어났다. 포브스 글로벌 2,000 기업 순위에서도 한국은 지난 10년간 15개가 늘어난 데 비해 중국은 133개, 인도는 29개, 러시아는 18개가 늘었다.
전경련 측은 특히 증가세가 신흥국에 못미치는 동시에 절대 글로벌 기업의 수도 선진국과 비교해 적은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기준으로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에 속한 선진국 기업의 수는 미국이 132개, 중국 89개, 일본 62개, 영국 37개 등으로 한국 14개와 격차를 보였다.
전경련은 이에 글로벌 기업을 육성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광호 전경련 기업정책팀장은 “글로벌 순위에 포함된 우리 기업들조차 일부를 제외하고는 중간 이하 순위에 머물러 있어 업종별 글로벌 1위 업체와 비교하면 규모가 작다”며“지금과 같은 글로벌 경제전쟁 시대에는 보다 많은 우리나라 기업들이 더욱 성장해 세계를 상대로 경쟁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적극적으로 북돋아 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