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내 선거까지 국가가 불법ㆍ탈법실태를 감시하고 소요비용을 부담하는 일종의 선거공영제다.
★관련기사 8면
황영철 한나라당 대변인은 10일 “선관위에 위탁해서 전당대회를 공직선거 정도의 수준에서 관리하는 것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고 논의가 있을 것”이라며 “시스템을 개선해야 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은 선거 비용을 보전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불법 선거 감시를 강화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나라당 비대위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황우여 원내대표와 비대위 핵심멤버들도 동의하는 이들이 적지 않아 조만간 한나라당 차원에서는 결론이 날 것으로 보인다.
황 원내대표는 “주요 경선에서 후보자가 아닌 당이 공적으로 선거 비용을 부담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생각할 필요가 있다”며 “중앙선관위와 협조하고 필요하면 (정당)법 개정에도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현행 정당법에는 보조금을 받는 중앙당은 대표 경선 사무 중 투ㆍ개표 사무를 선관위에 위탁할 수 있도록 돼 있는데, 여기에 후보등록과 선거운동 관리, 불법선거 운동시 고발 등 전반을 위탁하자는 것이다.
정치권에서는 민주통합당도 전대 돈봉투 추문에서 자유롭지 못한 입장이라는 점에서 여야간에 2월 임시국회에서 전대 선거공영제에 관한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