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새누리당 국회 외통위원장은 "장관이 이석 허가 요청을 하면서 통상의 예에 따른 적절한 절차를 밟지 않았음은 물론 증인 출석 등의 의무를 면하게 할 정당한 이유가 있다고 위원회로서 판단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국감 시기를 충분히 예측할 수 있는 상황에서 장관 출장 일정이 이를 충분히 고려해 결정한 것인지 의문이 드는데다 절차상으로도 외통위와 충분한 사전 협의가 없었다는 것이다.
이에 국회의장을 지낸 강창희 새누리당 의원은 "지금 외통위에 내각에 있었던 사람이 9명이나 있다"며 "장관이 설명하는 업무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지 못할 사람은 한 명도 없다. 다만 절차와 진정성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외통위 야당 간사인 심재권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도 "(장관 이석과 관련해) 제가 외교부로부터 받은 연락은 그제 오후에 받은 팩스 한 장이 전부였다. 그 팩스를 받고 어안이 벙벙했다. 이렇게 무례한 이석 요구를 할 수 있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외통위는 정회시간에 여야 협의를 거쳐 윤 장관의 이석을 이번에 한해 특별히 허용하기로 결정했다.
한편 여야 외통위원들은 최근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방문 중 '통일외교' 성과를 놓고 공방을 벌였다.
원혜영 새정연 의원은 "북핵 문제 해결 없이 평화적 통일이 가능할 수 없다"며 "당사자인 북한을 배제한 상태에서 주변국들하고만 박근혜식 조속한 통일외교를 하겠다는 것은 북한의 체제불안을 부추기고 남북관계 불안정성을 높여 통일을 더 어렵게 만드는 쪽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원유철 새누리당 의원은 질의자료를 통해 "박 대통령은 이번 한중 정상회담을 통해 정치, 군사, 경제, 한반도 통일 등 다방면에서 한중 간에 긴밀한 대화와 협력을 해나가기로 합의하는 등 많은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이주영 새누리당 의원도 "박 대통령이 중국 전승절 행사 참석 결단을 잘 내렸다는 국내외 평가를 받고 있다"며 "특히 미국에 대해 섭섭할 수 있는 측면을 사전에 잘 설명해 양해를 구하는 외교적 노력은 평가할 만한 성과"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