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행복추진위에는 지난 2007년 경선 시절까지 합쳐 박 후보가 무려 5번이나 중용했던 인물이 등장하는 등 대부분 박 후보와 함께해온 사람으로 채워졌다. 김종인 위원장을 포함한 21명의 인물 가운데 완전히 새로운 사람은 사실상 없다. 한번 중용한 사람은 설사 잘못을 하더라도 내치지 않는 박 후보의 '인사 스타일'이 작용했다는 게 당내 중론이다.
김 위원장의 경우 비상대책위원과 올해 경선 캠프 공동선대위원장을 지냈고 이번에는 국민행복추진위원장 겸 경제민주화추진단장을 맡아 경제민주화의 주도권을 쥐고 흔들었다.
실무추진단장을 맡은 안종범 의원은 2004년부터 박 후보의 외부 조언그룹으로 활약했으며 2007년 경선 캠프와 2010년 국가미래연구원에 이어 2012년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박 후보를 도왔다. 그는 올해 경선 캠프와 대선기획단에서 정책위원으로 박 후보와 함께했다.
김광두 힘찬경제추진단장도 2007년 경선 캠프에서 줄푸세(세금을 줄이고 규제는 풀고 법질서는 세우자)추진위원장을 거쳐 국가미래연구원장과 올해 경선 캠프 정책위원을 거쳤다. 최성재ㆍ곽병선 단장 역시 2007년부터 박 후보에게 각각 복지와 교육을 조언해왔다. 박명성ㆍ윤성규ㆍ옥동석ㆍ김장수ㆍ윤병세ㆍ이상무 단장 역시 2번 이상 박 후보 관련 조직에 이름을 올렸다. 당내 의원 8명 역시 기존 정책위 소속으로 박 후보의 공약을 연구해온 인사들이다.
당내에서는 이번 인선에 대해 최근 박 후보의 통합 이미지와는 거리가 멀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인선에는 비주류이거나 새로운 초선 의원은 보이지 않는다. 외부 영입인사로는 문용린 교수가 있지만 김 위원장 측 추천인사이고 그나마 화합인사로 내세운 인선은 경선 후보였던 안상수 가계부채특위원장 발탁에 불과하다. 2007년 경선 당시 참여자와 이들이 주축이 돼 만든 국가미래연구원 출신이 올해도 박 후보의 공약을 만드는 셈이다. 이 때문에 야권에서는 2007년 줄푸세와 달리 경제민주화와 복지를 강조한 박 후보의 공약은 무늬만 바뀌었다고 공격하고 있다.
당내 안팎에서는 위원장을 정하지 않은 국민행복추진위의 국민행복플랜위와 국민대타협위 위원장을 비롯해 실무조직인 17명의 단장에 어떤 인물이 추가로 기용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민행복추진위의 한 관계자는 "국민대타협위에 호남권ㆍ중소기업ㆍ진보진영을 대표하는 인사를 구성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국민행복플랜위는 대선 공약의 청사진을 수립하는 역할인 만큼 중량감 있는 인사가 거론된다. 다만 당내에서는 대선을 코앞에 둔 막판에 '깜짝 인사'를 발탁하는 것이 보여주기로 비쳐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