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파퓰러사이언스] 이지스(Ageis)는 로마신화의 주신(主神)인 제우스가 사용하던 방패인데 무엇이든지 다 막아낸다고 한다. 이 같은 이름의 의미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지스함은 방어가 목적인 군함으로 항공기, 미사일, 잠수함, 군함 등 자함(自艦)을 위협하는 모든 것에 대해 완벽한 방어수단을 갖고 있다. 이 같은 이지스함을 몇 척 정도 갖고 있어야 일본의 해상자위대와 균형을 맞출 수 있을까. 한국 해군은 6척의 이지스함을 주축으로 3개 기동전단을 만들고 싶어 하지만 현재의 국방개혁 2020으로는 결코 이룰 수 없는 꿈에 머물 것이라는 지적이 많다. [세종대왕함의 능력과 위상] 세종대왕함은 현존하는 서방 세계의 군함 중에서 가장 강력한 무장을 하고 있다. 대함, 대대지, 대공, 대잠 등 모든 부분이 세계 수준급이다. 세종대왕함은 수직발사시스템(VLS)을 통해 128발의 각종 미사일을 탑재하는데, 여기에는 SSM-700K(해성) 대함미사일, 천룡 함대지 순항미사일, SM-2 미사일, 그리고 홍상어 대잠미사일등이 포함된다. 최대 사정거리가 150~180km로 추정되는 해성 대함미사일은 30~200m 정도의 고도로 날아가다가 마지막 단계에서는 5~7m 정도의 초저공비행을 해 적함을 공격한다. 해성 대함미사일은 세계 최신예 기술을 모두 가진 미사일인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경로점(Way Point)’ 기술이다. 경로점 기술은 일단 여러 발의 미사일을 쏘아 놓은 후 각기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대기시켜 적함을 포위, 360도 전(全) 방위에서 공격할 수 있다. 한마디로 적함이 미사일을 요격할 확률을 확 떨어뜨리는 것이다. 세종대왕함은 이 같이 우수한 성능의 대함미사일을 16발이나 탑재하고 있다. 이는 8발의 대함미사일을 탑재한 대부분의 군함에 비해 2배의 대함 공격력을 갖춘 것이다. 세종대왕함의 또 다른 자랑거리인 함대지 순항미사일 천룡은 사정거리가 무려 500~1,500Km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함대지 순항미사일의 대명사는 미국의 토마호크인데, 한국 해군의 천룡도 이와 유사한 능력을 갖고 있다. 즉 500km 이상의 표적에 대해 2m x 2m 크기의 목표를 명중시킬 수 있는 정밀함을 자랑한다. 이는 2차 세계대전 패전으로 제정된 평화헌법에 의해 타국의 영토를 공격할 수 있는 무기를 보유할 수 없는 일본 이지스함에는 없는 능력이다. 1,000파운드 규모의 비교적 큰 탄두를 장착한 함대지 순항미사일을 무려 32발이나 탑재한 세종대왕함은 적의 육상 지휘부에 상당한 부담을 주기에 충분하다. 세종대왕함은 대공 능력도 탁월하다. 80발 정도 탑재된 SM-2 미사일은 사정거리 150km 이내에서는 어떤 적의 전투기도 접근을 불허한다. 대함미사일은 물론 초음속과 아음속을 가리지 않고 모두 요격할 수 있는 것. SM-2 미사일의 작동시스템 역시 탁월하다. 다량의 적 미사일이 발사될 경우에는 충분한 수량의 SM-2 미사일을 쏘아 올려 표적 근처로 날려 보낸다. 그리고 SPG-62 표적조사기로 목표를 찍어주면 목표물을 할당받은 SM-2 미사일이 목표물을 요격하는 방식이다. 다행히 SM-2 미사일의 요격을 피한 목표물도 안심할 수는 없다. 그런 목표물은 다시 사정거리 12km의 RAM 대공미사일에 의해 요격을 받기 때문이다. RAM은 적외선추적미사일인 공군의 AIM-9 사이드와인더를 개량한 것으로 SM-2처럼 표적조사기로 목표물을 찍어줄 필요도 없이 스스로 위협 목표물로 날아가 요격한다. 세종대왕함은 이처럼 대함, 대지, 대공 능력이 탁월하지만 대잠 능력에 있어서는 다소 떨어지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미국이나 일본의 이지스함은 장거리 탐지에 유리한 저주파 소나인 SQQ-89시스템을 사용한다. 군함의 덩치가 워낙 크기 때문이다. 반면 한국 해군의 이지스함은 작은 덩치로 인해 탐지거리가 짧은 노르웨이의 MSI-2500F 대잠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또 다른 잠수함 탐지 시스템인 대잠 헬리콥터 역시 미국과 일본 해군에 비해 빈약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종대왕함은 16발이나 장착한 홍상어 대잠미사일로 이 같은 단점을 커버하고 있다. 홍상어는 사정거리가 약 20km로 미국이나 일본의 대잠미사일인 ASROC보다 2배 정도 길다. 이 같은 점을 감안해 보면 세종대왕함은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군함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효율성 높은 기동함대 전투] 한국 해군은 일본 등 주변국의 1급 전투함대와 대적할 수 있는 기동함대를 보유하고 싶어 한다. 이 기동함대는 3개의 기동전단으로 구성되며, 1개의 기동전단은 2척의 KDX-3 세종대왕급 구축함과 4척의 KD-2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등 총 6척의 구축함으로 이뤄진다. 6척의 구축함이 전단을 이뤄 적과 교전한다면 사령관은 이 군함들은 크게 3개 그룹으로 나누어 3명의 지휘관을 선임한다. 바로 대공전, 대잠전, 대함전 그룹인데 가장 중요한 대공전과 대잠전 지휘를 세종대왕함 같은 KDX-3 이지스함이 맡게 된다. 이때 함장 외에 전단장이나 전대장 등 다른 지휘관이 승함해 전투 지휘를 할 수도 있고, 함장이 조함의 전투 지휘를 병행할 수도 있다. 장차 한국 해군은 합동교전능력(CEC) 시스템을 구축해 KDX-3 이지스함들이 탐지하는 모든 정보를 같은 함대의 KD-2와 KD-1 구축함들도 실시간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저성능의 레이더를 가진 KD-2라고 할지라도 이지스 레이더를 탑재한 것과 같은 탐색 능력을 갖게 된다. 각각의 지휘관은 CEC 시스템으로 인해 시현되는 정보를 토대로 각 군함에 교전을 할당한다. 하지만 CEC 시스템이 구축됐다고 하더라도 범용 구축함인 KD-2가 이지스함이 되는 것은 아니다. KD-2는 단지 자함이 보유한 레이더보다 광범위하고 정확한 정보를 취득할 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SM-2 미사일 역시 대공전 지휘함인 세종대왕함이 마치 자신의 미사일처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KD-2는 대공전 지휘관이 할당해 준 표적에 대응해 자신의 능력으로 요격 임무에 나서야 하는 것이다. 적 함대가 보유한 대함미사일을 한꺼번에 쏜다면 우리 해군의 기동전단은 약 3분 30초의 대응시간을 가질 수 있다. 이 시간 동안 기동전단은 CEC 시스템으로 정보를 공유하면서 대공전 지휘관이 할당하는 적의 미사일을 각자의 능력껏 요격해야 한다. 이와 동시에 대함전 지휘관이 할당하는 숫자의 대함미사일을 발사해 적을 공격한다. 이때 대잠전 지휘관은 대공과 대함 교전은 수동적으로 하면서 모든 신경을 혹시 있을지 모르는 잠수함에 집중한다. 대략 이 같은 방법으로 함대전투가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해서는 6척의 이지스함과 12척의 KD-2구축함이 필요하다. 하지만 국방개혁 2020은 앞으로 편성할 해군 기동전력을 이지스함 3척, KD-2 구축함 6척으로 제한하고 있다. 이럴 경우 일본 해상자위대에 맞설 수 있을까.
[대한민국 해군] 1. 부산의 해군작전사령부 2. 동해시의 1함대 3. 제주도 서귀포시 강정동 기동함대 [일본 해군] 1. 도쿄(요코즈카)의 1호위대군 2. 쿠레의 2호위대군 3. 큐슈 남서쪽 사세보의 3호위대군 4. 마이즈루의 4호위대군 제1호위대군(요코스카) - 제1호위대(DDH그룹): DDH181휴우가, 키리시마DDG174, 19DD, 무라사메DD101 - 제5호위대(DDG그룹): DDG177아타고, 19DD, 19DD, 타카나미DD110 제2호위대군(쿠레) - 제2호위대: DDH182휴우가2, 콩고DDG173, 19DD, 하루사메DD102 - 제6호위대: DDG178아시가라, 19DD, 19DD, 오오나미DD111 제3호위대군(사세보) - 제3호위대: DDH183 휴우가3, 묘오코DDG175, 19DD, 유우다치DD103 - 제7호위대: DDG179이지스7, 19DD, 19DD, 마키나미DD112 제4호위대군(마이즈루) - 제4호위대: DDH184 휴우가4, DDG176쵸카이, 19DD, 키리사메DD104 - 제8호위대: DDG180 이지스8, 19DD, 19DD, 사자나미DD113 제11호위대(요코스카): 이나즈마DD105, 스즈나미DD114, 유우기리DD-153 제12호위대(쿠레): 사미다레DD106, 아마기리DD154, 마츠유키DD130 제13호위대(사 세 보): 이카즈치DD107, 하마기리DD155, 세토유키DD131 제14호위대(마이즈루): 아케보노DD108, 세토리기DD156, 아사유키DD132 제15호위대(오오미나토): 아리아케DD109, 사와기리DD157, 우미기리DD158 |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