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은 열려 있지만 점진적으로 인상된다면 한국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충격파는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엄치성 전국경제인연합회 국제본부장은 “경기가 별로 좋지 않으니 금리 인상을 자제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대세였는데 예상대로 됐다”면서 “만약 금리가 인상됐다면 (우리나라를 포함한) 신흥시장의 자본유출이 일어날 위험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불확실성이 아직 남았다고는 하지만 어쨌든 당장 금리가 인상되지 않은 것은 잘된 일”이라면서 “수출에 의존하고 있는 한국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미국의 금리 동결은 예상보다 심각한 글로벌 경제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대한상공회의소 관계자는 “미국 연준이 이미 금리 인상을 몇 차례 연기했기 때문에 이번에는 인상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많았다”면서 “이를 연기한 것은 자국 경제보다는 글로벌 경제 상황에 대한 우려를 고려한 결정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이 관계자는 “당분간이지만 미국 금리인상으로 인한 충격은 뒤로 미뤄졌다”면서 “우리나라 경제에는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문병기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신흥국 시장이 불안정하고 중국발 경기 침체가 지속하고 있어 국제통화기금(IMF)과 주요국은 미국의 금리 동결을 기대해 왔는데 이번에 반영된 것 같다”면서 “금리를 언제 올릴지 모른다는 불확실성은 남아 있지만 일단은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문 수석연구원은 금리 인상의 시기보다는 속도나 폭이 훨씬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시장의 기대에 따라 점진적으로 인상된다면 부정적인 충격이 감소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금리가 인상되면 장기적으로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금융시장이 요동치고 신흥국 시장에는 부정적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면서 “다만 가파르게 인상되지만 않는다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줄어들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