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의원은 이날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박근혜 대통령이 스스로 바뀌기를 간곡히 바란다. 국정운영 시스템과 기조뿐만 아니라 국정철학과 리더십을 완전히 바꿔야 한다”며 “불통과 독선이 계속된다면 대한민국호는 기울 수 밖에 없다”고 박 대통령에게 직격탄을 날렸다.
문 의원은 해경 해체 등에 대해서도 “해경과 해수부의 권한과 전문성을 위축시킨 장본인은 이명박 정부를 비롯한 새누리당 정권이다”며 “이제 와서 부실의 책임을 물어 징벌적 해체 조치를취하는 것은 무책임한 처사다. 필요한 것은 전문역량 강화와 조직혁신이지 해체와 권한 약화가 아니다”고 꼬집었다.
특히 관피아 문제와 관련, “오래된 적폐와 관피아 부패도 그 시작은 군사정권”이라고 전제한 뒤 “관피아들의 부패구조와 결탁해 이권을 나누면서 장기 집권해온 장본인이 새누리당 정권이다. 부끄러운 과거를 아프게 돌아봐야 한다”고 비판했다.
또 “이 정부는 기업의 탐욕을 비난 할 자격이 없다”며 “규제는 악이라면서 기업주의 돈벌이와 자본의 이윤추구에 앞장섰던 지난 1년 반 동안의 경제정책 기조를 먼저 반성해야 한다”고 박 대통령을 직접 겨냥했다.
문 의원이 현 정부에 대한 비판의 수위를 끌어올린 것은 자신의 정치적 위상과 선명성을 강조하기 위한 차원에서 이뤄진 것으로 풀이된다. 박근혜 대통령 담화 이후 자신의 정치적 색채를 부각시키면서 정치적 세력을 집결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다.
새정치연합의 한 재선 의원은 “문 의원은 스스로 지지자들이 자신의 뚜렷한 정치적 색깔을 선호하는 것을 알고 있다”며 “세월호 참사 이후 밖으로 드러난 행동을 보이지 않았던 만큼 정치적 선명성을 드러내 보일 수 있는 타이밍을 박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 이후로 조절하지 않았겠느냐”고 관측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