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윤초는 세계협정시(UTC)로 2015년 6월30일 23시59분59초 다음에 1초를 삽입하는 것으로 한국 시간으로는 7월1일 오전8시59분59초와 9시0분0초 사이에 1초가 더해진다. 윤초는 지구 자전주기를 기준으로 국제지구자전-좌표국(IERS)이 정하는 '천문시'인 세계시(UT1)와 세슘 동위원소 진동수를 기준으로 한 '원자시'인 세계협정시(UTC) 사이의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원자시에 1초를 추가하는 것이다.
세슘 동위원소(원자번호 133)의 진동수(9,192,631,770)를 기준으로 1초를 정의한 원자시는 3,000년에 1초의 오차를 보인다. 반면 세계시는 태양과 달의 조석력, 지구 핵과 맨틀 간 상호작용 등에 따라 달라지는 지구자전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시간이 흐르면 두 시간 체계 사이에 차이가 생긴다. 두 시간 체계 사이의 차이가 0.9초 이상이 되면 IERS가 윤초를 발표한다. 지구 자전속도가 빨라지면 음(-)의 윤초, 지구 자전속도가 느려지면 양(+)의 윤초를 하게 된다. 이번 윤초는 한국 시간으로 지난 2012년 7월1일 이후 3년 만에 실시하는 것. 윤초는 1972년 처음 실시된 후 지난번까지 26차례 실시됐다.
휴대폰 내장 시계처럼 표준시를 수신해 표시하는 전자시계는 윤초가 자동 적용되지만 그 밖의 시계는 1초 늦도록 조작해야 한다며 특히 금융기관, 정보통신 관련 기업과 같이 정확한 시각을 요구하는 곳에서는 윤초 실시에 주의해야 할 것이라고 미래부는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