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가 25일 발표한 '2011년 지구촌 해외여행 동향과 대응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여행자는 총 9억8,000만명으로 올해 중 10억명을 돌파할 것으로 추산됐다.
한국은 지난해 980만명을 유치하며 2계단 상승한 25위를 기록했으나 홍콩(13위), 태국(15위), 마카오(20위), 싱가포르(22위) 등보다 후순위다.
세계관광기구(UNWTO)가 집계한 지난해 해외여행 빅3는 프랑스ㆍ미국ㆍ중국이 차지했다.
지난해 해외여행객 증가율은 프랑스(1.8%), 영국(2.7%), 스위스(-1.1%) 등 유럽국들이 정체된 데 비해 아시아 지역은 태국(19.8%), 싱가포르(13.4%), 한국(11.3%), 홍콩(11.1%) 등을 중심으로 두자릿수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대한상의는 최근 한국에 대한 외국인방문객 증가현상은 원화가치 하락, 한류효과, 국가 이미지 상승, 일본 대지진 반사이익 등에 힘입은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외국인 방문객 1,000만명은 지구촌 전체 해외여행인구(10억명)의 1%에 불과하며 지난해 내국인 해외여행 인구(1,269만명)에도 못 미친다고 밝혔다.
실제로 해외에서 본 한국관광의 매력도는 그리 높지 않다.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발표한 관광경쟁력 순위(2011년)에 우리나라 관광자원과 인프라는 각각 27위, 28위에 그쳤다.
이와 관련, 상의는 무엇보다 관광 분야에 대한 투자 확대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세계여행관광협회(WTTC)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관광 분야 투자는 68억달러로 전체투자(총 고정자본 형성)의 2.2%에 그쳤다. 싱가포르(20.2%), 홍콩(9.0%), 태국(6.8%)은 물론 세계평균(4.8%)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상의는 "자연경관이나 문화유산만으로 외국인 방문객을 유치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의료ㆍ성형 분야, 한국 제품 쇼핑 기회, 한류 공연, 한국 음식 등의 분야에 대한 규제 완화와 투자활성화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계 해외여행객 순위
(단위:백만명)
순위 국가 여행객 수
1 | 프랑스 | 77.1 |
2 | 미 국 | 59.8 |
3 | 중 국 | 55.7 |
4 | 스페인 | 52.7 |
6 | 터 키 | 27.0 |
7 | 영 국 | 28.3 |
13 | 홍 콩 | 20.1 |
15 | 태 국 | 15.9 |
18 | 캐나다 | 16.1 |
20 | 마카오 | 11.9 |
22 | 싱가폴 | 9.2 |
25 | 한 국 | 8.8 |
39 | 일 본 | 8.6 |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