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0여곳에 달하는 국내 기업들이 파생금융거래까지 동원하며 외환투기를 일삼아오다 한국은행에 적발돼 적지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특히 일부 중소기업은 환차익을 노려 전담팀까지 두고 과도한 일중매매(데이트레이딩) 등에 나섰다가 수백억원의 환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드러났다. 더구나 이 같은 환투기는 달러를 벌어들이는 수출기업은 물론 내수업계 전반까지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최근 외환거래 모니터링 과정에서 일부 기업의 과도한 투기성 외환매매 행태를 발견, 해당 기업 경영자에게 환위험을 경고하고 거래 은행에 주의를 환기시켰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전날 금융감독원이 외국은행 지점의 과도한 외화차입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한 것의 연장선에서 기업들의 과도한 선물환 매도가 국내 금융시장 불안정성의 증폭시킨다고 보고 감독 당국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은의 모니터링 결과 20여개 기업이 자체 환율전망 등에 따라 상당한 투기성 외환매매를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모니터링 대상이 지난해 외환매매량 상위기업(매수ㆍ매도 상위 각각 30개) 등 주로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인 점을 감안하면 실제 환투기에 나선 기업은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은은 “일부 대기업은 전통적 외환거래에 이어 파생금융거래까지 활용하면서 투기성 외환매매에 치중했다”며 “특히 일부 중소기업은 환차익을 노려 전담팀까지 두면서 과도한 데이트레이딩을 실행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실제 한 기업은 외환투기 거래과정에서 200억원 이상의 환손실을 보는 바람에 영업이익 호조에도 불구하고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이러한 투기성 외환매매는 기업의 환차익으로 순익이 늘어날 수도 있고 외화유동성을 늘려 시장을 활성화하는 측면도 있지만 과도한 투기성 거래가 지속될 경우 ▦환리스크 확대 ▦외환시장 교란 ▦기업 고유의 경영활동 위축 등의 문제를 초래한다고 한은은 강조했다. 우리나라는 지난 96년부터 외환거래 실수요 원칙을 점차 폐지해 투기성 거래에 대한 규제가 없는 실정이다. 한은은 앞으로 은행에 기업의 과도한 투기성 외환매매에 대한 통제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하는 한편 과도한 투기성 매매가 계속될 경우 매매한도 감축과 거래규모 축소, 조기청산 등의 방안도 강구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한은은 “외환거래는 투기 여부를 판단하는 게 쉽지 않고 이를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는 장치가 없다”며 “기업 경영자의 투기성 거래 위험에대한 인식을 높이고 은행도 적절한 통제 시스템을 갖추는 게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