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후보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자신의 '늘지오' 정책을 우선 소개하며 "좋은 일자리를 많이 늘리고 현행 일자리를 지키며 일자리의 질을 끌어올리겠다"고 말했다. 그는 "청년실업 해결을 위해 벤처창업을 활성화하고 대학 내 창업도 적극 지원하겠다"며 비정규직 근로자의 권익보호와 차별해소를 위해 대표시정제도와 징벌적 금전보상제를 도입하겠다고 약속했다.
일자리 대통령을 자임한 문 후보는 `만나바' 정책을 피력하며 "공공서비스에서 좋은 일자리 40만개를 만들고 노동시간 단축을 통한 일자리 나누기로 70만개를 만들 것"이라며 "비정규직을 절반으로 줄이고 우선 공공 부문의 상시적 일자리는 전부 정규직으로 바꾸겠다"고 말했다.
문 후보의 비정규직 절반감축 공약에 대해 박 후보는 "현실과 동떨어진 면이 있다"고 꼬집은 뒤 "기업에 강력한 규제를 가해야 하는데 비용부담 때문에 신규 채용을 줄이거나 영세기업은 아예 문을 닫거나 직원을 내보낼 수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비정규직 600만명 중 300만명을 어떻게 전환할 것이냐"고 따졌다.
문 후보는 이에 대해 "공공 부문에서 줄일 수 있는 비정규직 수가 적어도 20만명"이라며 "민간기업의 정규직 전환은 정부가 고용지원금을 지급하고 실적에 따라 정부 조달과 법인세 혜택 등을 주면 된다"고 말해 규제가 아닌 인센티브로 대응할 계획임을 밝혔다.
이정희 통합진보당 후보는 박 후보를 향해 "대선 전 쌍용차 국정조사 실시부터 약속해달라"며 "학교 비정규직 문제도 당장 해결하자"고 압박했다. 그는 또 문 후보가 일자리와 고용안정을 위해 사회적 대타협을 주문하자 "참여정부 때처럼 노동자가 정리해고를 당하지 않고 손해배상소송을 안 당하게 하는 게 우선"이라고 반박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