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인력 줄인 스타트업 중 40%가 'AI'…빅테크 전방위 공습에 생존 급급
    인력 줄인 스타트업 중 40%가 'AI'…빅테크 전방위 공습에 생존 급급
    IT 2025.02.12 17:57:32
    강력한 토종 인공지능(AI) 반도체 유니콘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퓨리오사AI가 글로벌 빅테크의 품에 안기게 된 상황에서 국내 AI 스타트업이 처한 현실을 들여다보면 향후 국내 AI 생태계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진다. 유니콘으로 꼽힐 만한 기업들은 사라지고 투자 유치가 힘들어지자 저마다 가장 핵심인 인력부터 줄이고 있다. 한때 생성형 AI 붐 이후 투자가 집중됐던 국내 AI 생태계가 글로벌 빅테크의 전방위 공습으로 뚜렷한 위축세로 돌아섰다는 진단이다. 12일 서울경제신문이 스타트업 성장 플랫폼 혁신의숲에서 AI·딥테
  • 입는 로봇 만든 공경철 교수, 올해의 KAIST인상 수상
    입는 로봇 만든 공경철 교수, 올해의 KAIST인상 수상
    IT 2025.02.12 17:56:03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웨어러블(착용형) 로봇을 개발해 국제 대회를 석권한 공경철 기계공학과 교수가 ‘올해의 KAIST인상’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올해의 KAIST인상은 탁월한 학술과 연구 실적으로 국내외에서 학교의 발전을 위해 노력한 구성원에게 주는 상이다. 공 교수는 하반신 장애인의 보행을 돕는 웨어러블 로봇 ‘워크온 쇼트 F1’ 등을 개발했다. 하반신 완전마비 장애인에게도 일상생활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기술의 우수성과 사회적 가치를 모두 인정받아 국제 대회 ‘2024 사이배슬론’에서 2회 연
  • 퓨리오사AI, 글로벌 시장서 K기술력 입증…"AI반도체 생태계 약화" 우려도
    퓨리오사AI, 글로벌 시장서 K기술력 입증…"AI반도체 생태계 약화" 우려도
    IT 2025.02.12 17:55:12
    퓨리오사AI가 메타와 경영권 매각 협상을 진행하는 이유는 양측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데 있다. 퓨리오사AI가 만드는 추론형 인공지능(AI) 반도체, 즉 신경망처리장치(NPU)는 특정 대규모언어모델(LLM)의 특성에 맞게 세부 조건을 맞추면 더욱 강력한 성능을 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대규모로 자사의 NPU를 구매해줄 곳이 필요했고 이번 메타와의 인수합병(M&A)이 이러한 퓨리오사AI의 고민을 한 번에 해결해줄 수 있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지난해 퓨리오사AI는 자사의 2세대 NPU인 ‘레니게이드’를 공개하면서 “메타의
  • 강대임 UST 총장 취임…“가치 창출형 인재 키우겠다”
    강대임 UST 총장 취임…“가치 창출형 인재 키우겠다”
    IT 2025.02.12 17:54:55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가 신임 총장으로 강대임 박사가 취임했다고 12일 밝혔다. 강 신임 총장은 “전공 운영 체계를 고도화해 창의·융합·도전·협력형 등 4C형 인재 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세계 우수 대학과의 협력 체계를 강화하겠다”며 “기업가정신 함양 교육 등을 통해 도전형 인재를 양성하고 산학연 연계 강화를 위한 교육을 확대해 UST가 지역 발전을 선도해가는 등 가치 창출형 교육 모델을 확충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UST의 특성화 교육체계가 지속 발전될 수 있도록 스쿨 인증
  • SKT, 연내 에이닷 유료화…AI사업 수익화 속도
    SKT, 연내 에이닷 유료화…AI사업 수익화 속도
    IT 2025.02.12 17:47:32
    SK텔레콤(017670)의 지난해 매출이 인공지능(AI) 사업 성장에 힘입어 2%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에는 AI 사업의 수익화에 본격적으로 나서며 체질 개선에 속도를 내겠다는 구상이다. 특히 AI 통화 비서 서비스인 ‘에이닷’의 유료화(수익화) 추진 계획도 밝혔다. 12일 SK텔레콤은 2024년 연결 매출 17조9406억 원, 영업이익 1조8234억 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1.9%, 4.0% 증가한 수치다. 순이익은 1조4388억 원을 기록했다. 눈에 띄는 부분은 AI 관련 실적이다. SKT의 AI
  • 사람처럼 업무 분담…'협업 AI'가 뜬다
    사람처럼 업무 분담…'협업 AI'가 뜬다
    IT 2025.02.12 17:33:05
    대형 인공지능(AI) 대신 작은 AI 여러 개를 협업시켜 고성능을 구현하는 이른바 ‘협업 AI’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AI 모델 규모를 키우는 기존 업계 경쟁이 개발 비용과 전력 소모 탓에 한계에 다다르는 상황에서 효율적으로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대안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 시장에 충격을 준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AI 혁신을 선보인 데 이어 미국 빅테크도 협업 AI 전용 반도체칩까지 개발하며 신기술 주도권 경쟁을 벌이고 있다. 12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IBM 리서치 유럽 연구진은 ‘전
  • 메타, 퓨리오사AI 눈독…'토종 팹리스'도 내줄 판
    메타, 퓨리오사AI 눈독…'토종 팹리스'도 내줄 판
    IT 2025.02.12 17:28:08
    글로벌 빅테크인 페이스북 운영사 ‘메타플랫폼스’가 한국 인공지능(AI) 반도체 팹리스 스타트업 ‘퓨리오사AI’의 인수를 추진한다. 전체 거래 금액은 수조 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며 퓨리오사AI는 리벨리온에 이어 AI 반도체 분야 유니콘(기업가치 1조 원 이상의 비상장사)으로 등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각에서는 퓨리오사AI의 경영권이 해외 기업에 넘어간다는 점에서 국내 AI 반도체 분야 핵심 기술이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2일 정보기술(IT) 및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메타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수개월간 퓨리
  • 피클·애슬러 등 투자유치 [VC 투자 ABC]
    피클·애슬러 등 투자유치 [VC 투자 ABC]
    IT 2025.02.12 17:23:39
    AI스타트업 피클, YC 등으로부터 투자 유치 12일 벤처 투자 정보 플랫폼 더브이씨에 따르면 미국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인공지능(AI) 스타트업 피클이 미국 대표 엑셀레이터인 와이콤비네이터(YC) 등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했다. 투자 금액은 비공개다. 피클은 ‘AI로 인류의 소통을 쉽게 만들자’는 비전을 바탕으로 줌, 구글 밋 등 화상회의 플랫폼에서 활용 가능한 개인 맞춤형 실시간 립싱킹 ‘클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는 AI로 본인과 동일하게 생성된 얼굴 영상으로 카메라를 켜지 않고도 언제 어디서나 화상회의에 참여할 수
  • 전문가 리워드·원스톱 서비스…'재능 플랫폼' 차별화 전쟁 [스타트업 스트리트]
    전문가 리워드·원스톱 서비스…'재능 플랫폼' 차별화 전쟁 [스타트업 스트리트]
    IT 2025.02.12 17:23:03
    재능거래 플랫폼 시장에서 전문가를 찾는 수요가 커지고 있다. 이에 플랫폼들은 단순히 전문가와 기업을 연결해 주는 수준을 넘어 차별화된 전략으로 시장 주도권 확보에 나섰다. 수수료 제로 정책부터 정교한 매칭 시스템, 검증된 전문가 풀 확보까지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12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웹사이트 제작 및 e커머스 운영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타트업 아임웹은 지난해 5월 사업자가 브랜드 운영에 필요한 각종 디자인을 전문가에게 의뢰할 수 있는 ‘전문가 찾기’ 서비스를 출시했다. 중개 수수료 '0원&apo
  • 심재훈 호패 대표 "내년 디지털 신분증 수요 폭발…항공·물류 전방위 공략" [스케일업 리포트]
    심재훈 호패 대표 "내년 디지털 신분증 수요 폭발…항공·물류 전방위 공략" [스케일업 리포트]
    IT 2025.02.12 17:22:09
    수백 조원대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글로벌 디지털 신원인증 시장을 제패하기 위한 전략 수립을 마친 기업이 있다. 신원인증(ID) 테크 스타트업 호패다. 심재훈 호패 대표는 최근 서울 강남구 한국지사 사옥에서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호패는 디지털 신원인증 솔루션 1위로서 지위를 공고히 다지고 있다”며 “내년 폭발적인 성장을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생활 침해·신분 위조 방지 2022년 설립된 호패는 블록체인 기반 분산신원인증(Decentralized Identity·DID) 기술로 디지털 신원인증 솔루션
  • 크래프톤, '딩컴' 글로벌 퍼블리싱 계약 체결
    크래프톤, '딩컴' 글로벌 퍼블리싱 계약 체결
    IT 2025.02.12 17:13:47
    크래프톤은 1인 개발자 제임스 벤던과 생존 생활 시뮬레이션 게임 '딩컴'(Dinkum)의 글로벌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딩컴은 호주의 1인 개발자 제임스 벤던이 2022년 스팀을 통해 출시한 게임이다. 이 게임은 호주의 대자연을 모티브로 한 섬에서 채집·사냥·채광·낚시 등을 하며 마을을 가꿔나가는 작품성이 호평받으며 누적 판매량 100만 장을 넘겼다. 크래프톤은 이번 퍼블리싱 계약으로 '딩컴'을 비롯해 자회사 5민랩이 개발 중인 모바일 게임
  • 웹젠, 지난해 영업이익 546억 원…전년 대비 9.3%↑
    웹젠, 지난해 영업이익 546억 원…전년 대비 9.3%↑
    IT 2025.02.12 17:07:45
    웹젠(069080)은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546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2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대비 9.3% 증가한 수치다. 매출은 2147억 원으로 전년 대비 9.4% 증가했다. 순이익은 568억 원으로 1.4% 줄었다. 웹젠은 지난해 8월 출시한 '뮤 모나크2'의 흥행이 장기 서비스게임의 매출 감소를 상쇄했고, '뮤' IP 사업 전반과 '메틴' 시리즈의 매출 성장이 전년 대비 실적 상승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웹젠은 지난해부터 여러 게임 개발사에 대한 전략적
  • 위메이드, 흑자 전환 성공…매출은 연간 기준 최대
    위메이드, 흑자 전환 성공…매출은 연간 기준 최대
    IT 2025.02.12 17:03:08
    위메이드(112040)는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81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2일 공시했다. 2023년 영업손실 1104억 원을 기록했지만 지난해 흑자 전환에 성공한 것이다. 매출은 7120억 원으로 직전연도 동기보다 17.6% 늘었다. 연간 기준으로 2021년부터 4년 연속 최대 매출을 경신했다. 4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약 41.6% 증가한 1650억 원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은 약 181억 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위메이드는 '나이트 크로우’의 글로벌 흥행과 '미르의 전설 2,3' 중국
  • 컴투스, '서머너즈 워: 러쉬' 태국 선출시…'키우기 모바일 게임'
    컴투스, '서머너즈 워: 러쉬' 태국 선출시…'키우기 모바일 게임'
    IT 2025.02.12 16:48:02
    컴투스(078340)는 대표작 '서머너즈 워' 지식재산권(IP) 기반 신작 '서머너즈 워: 러쉬'를 태국 시장에 출시했다고 12일 밝혔다.올해 상반기 중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160여 개 지역에 출시될 예정이다. 컴투스가 자체 개발한 '서머너즈 워: 러쉬'는 시리즈에 등장하는 다양한 소환수들이 등장해 필드 스테이지, 보스전 등을 자동으로 진행하는 키우기 장르의 모바일 게임이다. 특히 타워 디펜스 장르 미니게임이 접목된 게임모드가 탑재됐다. '서머너즈 워: 러쉬'
  • SOOP, 지난해 영업이익 1143억 원…전년 대비 26.6%↑
    SOOP, 지난해 영업이익 1143억 원…전년 대비 26.6%↑
    IT 2025.02.12 16:38:21
    SOOP(067160)(구 아프리카TV)가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143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2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보다 26.6% 증가한 수치다. 매출은 4291억 원으로 직전연도 대비 23.4% 증가했다. 순이익은 991억 원으로 32.8% 늘었다. 플랫폼과 광고 사업 모두 성장했다. 플랫폼 매출은 3265억 원으로 전년 대비 26% 증가했고 광고 매출도 18% 상승한 980억 원을 기록했다. 4분기 영업이익은 286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8.4% 늘었다. 매출은 1176억 원으로 17.2% 증가했다. SOOP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