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
北 "수해 지원" 정부 제안에도 '무응답'
정치통일·외교·안보 2024.08.02 13:31:39정부가 수해와 관련해 지원을 제안했지만 북한 측에서 응답이 없는 상황이라고 통일부가 2일 밝혔다. 김인애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서울청사에서 연 정례 브리핑에서 "1일 대한적십자사가 대북 수해지원을 제안했는데 북한에서 통신선 등을 통해 의사 표명을 해온 것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연락 채널을 통해 통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북측으로부터 온 응답은 없다"고 답했다. 그는 "상황을 예단하지 않겠으며 북 측이 우리 측의 제의에 조속히 호응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남북이 합의한 하루 두 차례 통화 시각은 9시, 17시다. 앞서 1일 박종술 대한적십자사 사무총장은 북한 수해와 관련해 “이재민들에게 긴급히 필요한 물자를 신속히 지원할 용의가 있다”고 발표했다. 통일부의 한 관계자는 “남북협력기금을 통한 지원이기 때문에 정부와 적십자사가 같이 지원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의 수해 지원 관련 제의는 2012년 이후 12년 만이다. 당시 북한의 거부 의사 표명으로 지원은 되지 않았다. 2000년대 이후 정부는 4번에 걸쳐 북한 수해에 총 1294억 원 상당의 지원을 했다. 가장 최근은 2010년으로 쌀·컵라면·시멘트 등 총 72억 원어치를 지원했다. 윤석열 정부 들어 북한에 대한 지원 제안은 이번이 두 번째다. 2022년 5월 16일 코로나19 방역 협력 관련 실무 접촉을 전통문을 통해 제안했지만 북한에서는 답이 없었다. 지난달 31일 북한 노동신문, 조선중앙통신 등에 따르면 27일 내린 폭우로 압록강이 범람해 강 하류에 있는 평안북도 신의주시와 의주군 섬 지역이 큰 피해를 입었다. 이 지역 주택 4100여 채와 공공 건물, 도로, 철길, 농경지 등이 침수됐다. 압록강이 지나는 자강도·양강도 역시 수해를 입었다. 통일부의 한 관계자는 “상당한 인명 피해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 바 있다. -
<유>KEC, 장중 신저가 기록.. 1,120→1,119(▼1)
증권News봇 2024.08.02 13:30:51오후 1시 30분 현재 KEC(092220)가 4.93% 내린 1,119원(▼58)을 기록하며, 52주 신저가를 -1원 경신했다. 기존 52주 최저가는 2024년 06월 27일 기록한 1,120원이다. 체결강도는 17%로 강세 반전했다. 총매수체결량은 118,281주, 총매도체결량은 681,302주를 각각 기록했다. (※ 체결강도(%) = (총매수체결량/총매도체결량)*100)이 시각 현재 거래대금은 9억2,995만, 거래량은 82만414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85(매도):15(매수)의 매도우위를 보이고 있다.거래일을 기준으로 최근 3일간 평균 거래량은 9십4만6천주, 60일 평균 거래량 2백3십2만6천주로 최근 거래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추세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30 현재 코스닥은 39:61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의료·정밀기기업(3.49%↓)
증권News봇 2024.08.02 13:30:312일 오후 1시 30분 현재 코스닥은 전일 대비 28.09p(-3.45%) 하락한 785.44로, 39(매도):61(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기계·장비업(-5.85%), 비금속업(-5.75%), 화학업(-4.15%)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기기업이 26:74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오락·문화업은 55:45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2,187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1,632억, 기관은 482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대명소노시즌(007720)이 29.96% 오른 720원을 기록 중이고, 뉴보텍(060260)(+29.91%), 대성하이텍(129920)(+29.88%)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퀄리타스반도체(432720)(-17.41%), 케어젠(214370)(-17.18%), 이노스페이스(462350)(-13.96%)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하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1492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3개 종목을 포함해 134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로나19 재확산?…수젠텍·랩지노믹스 진단업체 급등 [Why바이오]
문화·스포츠헬스 2024.08.02 13:30:2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우려가 나오면서 수젠텍(253840)·랩지노믹스(084650) 등 진단키트 기업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 수젠텍은 2일 오후 1시 20분 전 거래일보다 1320원(21.26%) 오른 753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간 씨젠(096530)은 1350원(6.34%)오른 2만 26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씨젠은 장중 한 때 11.27% 오른 2만 3700원까지 올랐다. 랩지노믹스 역시 전 거래일보다 14.04% 오른 3045원에 거래되고 있다. 코로나19가 여름철을 맞아 다시 확산하면서 진단업체에는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 때문이다.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신규 입원환자가 7월 첫 주 91명에서 지난주 465명으로 한 달 새 5배 이상 급증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바이러스 검출률은 24%로 한 달 전과 비교해 17%포인트 상승했다.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인 KP.3(케이피쓰리)의 확산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해외에서도 코로나19가 확산하고 있다. 외국도 코로나19가 재확산세다. 휴가철과 프랑스올림픽 등을 맞아 외국 감염 기반 국내 확진자도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프랑스 파리에선 호주 여자 수구 대표팀 선수 5명이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일본은 10주 연속 코로나19 감염 환자 수가 늘고 있다. 질병청 관계자는 “밀폐된 환경은 호흡기 감염병이 퍼지기가 쉬운 환경을 만들다 보니 냉방기를 틀어놓았다고 하더라도 2시간에 한 번씩은 꼭 환기를 해야 한다”며 “개인 위생 수칙을 지키고 호흡기 증상이 있다면 마스크를 쓰는 등 방역 수칙을 준수해 달라”고 당부했다. 다만 코로나19가 이미 엔데믹(풍토병화)이 된 만큼 로나19 재확산세가 관련 기업에 추가 매출 모멘텀이 될 수 있을지는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진단업체들의 재고가 이미 상당하며 생산량을 늘려야할 만큼 수요가 있을지는 아직 알 수 없어 과도한 기대감을 가지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Why 바이오 코너는 증시에서 주목받는 바이오 기업들의 이슈를 전달하는 연재물입니다. 주가나 거래량 등에서 특징을 보인 제약·바이오 기업에 대해 시장이 주목한 이유를 살펴보고, 해당 이슈에 대해 해설하고 전망합니다. -
오후 1:30 현재 코스피는 31:69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전기가스업(1.82%↓)
증권News봇 2024.08.02 13:30:172일 오후 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90.59p(-3.26%) 하락한 2687.09로, 31(매도):69(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기계업(-4.85%), 금융업(-4.17%), 전기전자업(-4.08%)이며, 강세업종은 통신업(+0.85%)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전기가스업이 21:79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통신업은 66:34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12,824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7,064억, 기관은 5,773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휴니드(005870)가 20.06% 오른 8,020원을 기록 중이고, 한국석유(004090)(+13.61%), 흥아해운(003280)(+5.47%)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삼화전기(009470)(-17.66%), DL(000210)(-12.23%), HD현대일렉트릭(267260)(-12.01%)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870개, 상승종목은 57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MG, 하드톱 쿠페 모델 ‘사이버 GTS’ 컨셉 공개
문화·스포츠자동차 2024.08.02 13:30:00MG 사이버 GTS 컨셉MG가 브랜드의 감각을 계승하는 하드톱 쿠페 컨셉 모델, ‘사이버 GTS(Cyber GTS)’를 공개했다.이번에 공개된 사이버 GTS는 영국 굿우드에서 열리는 세계적인 자동차 관련 행사,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Goodwood Festival of Speed 2024)’에서 공개했다.특히 이번 사이버 GTS의 공개는 이번 행사의 주인공을 자처한 MG가 공개했던 만큼 더욱 특별한 공개로 평가 받는다.공개된 사이버 GTS는 앞서 공개된 고성능 로드스터 모델, ‘사이버스터’를 떠올리게 하는 디자인 구성 및 디테을 갖추면서도 ‘하드톱 쿠페’의 매력을 강조한다.실제 사이버스터에서 구현된 공격적인 프론트 엔드의 형태는 물론이고 매끄러운 실루엣, 그리고 화살표 형태의 리어 램프 등이 ‘사이버 GTS’을 완성한다.MG 사이버 GTS 컨셉실내 공간은 따로 공개되지 않았으나 전체적인 구성에서 사이버스터와 유사할 것으로 알려졌으며 ‘쿠페를 위한 디테일’이 일부 더해질 것으로 알려졌다.더불어 차량의 성능도 따로 언급되지 않았다. 다만 사이버스터와 같이 고성능 전기 구동계를 통해 ‘주행의 매력’을 더할 것으로 알려져 기대감을 더한다.한편 업계에 따르면 사이버 GTS는 이르면 내년, 영국 등 유럽 시장에 데뷔할 것으로 알려졌다. -
<코>오브젠, 현재가 5.11% 급등
증권News봇 2024.08.02 13:27:27오후 1시 27분 현재 오브젠(417860)의 현재가는 17,290원으로 1분전 16,450원 대비 5.11% 급등했다. 수급측면으로는 57(매도):43(매수)의 매도우위를 기록하고 있다.지난 1개월간 오브젠은 47.90% 상승했으며, 표준편차는 8.46%를 기록했다. 이 기간 '출판·매체복제업' 업종 평균 주가수익률은 -5.21% 로 나타났으며, 변동성은 1.20%를 기록했다. 이 시각 현재 '출판·매체복제업'은 2.42% 하락 중이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SH공사, 시의회 의장과 장기전세주택 현장 방문…"공급 확대할 것"
부동산부동산일반 2024.08.02 13:26:06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이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의 위례23단지 장기전세주택을 방문했다. SH공사는 지난달 26일 김헌동 사장과 최 의장,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 유정인 의원, 한병용 서울시 주택실장 등이 위례23단지 장기전세주택을 방문해 장기전세주택 확대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2일 밝혔다. 위례23단지는 SH공사가 2017년 송파구에 공급한 장기전세·국민임대 혼합형 임대주택이다. 장기전세주택은 2007년 오세훈 시장 재임 당시 처음 도입된 임대유형으로 입주자와 SH공사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입주자는 자격이 충족되면 시세의 80% 이하의 가격으로 최장 20년간 거주가 가능하다. SH공사 입장에서는 임대주택을 장기 보유할 시 매입임대주택보다 자산가치 상승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청약 접수를 한 장기전세주택2 올림픽파크포레온은 300호 모집에 60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SH공사는 이달 말 광진구 구의동, 은평구 역촌동 등을 포함한 장기전세주택2 모집공고(288호)를 발표할 예정이다. 김 SH공사 사장은 "장기전세주택을 통해 합리적 가격의 고품질 주택을 시민 눈높이에 맞게 공급할 수 있도록 적극 확장할 것"이라며 "서울시의회-서울시와 함께 앞으로 장기전세주택을 더욱 발전시킬 것"이라고 전했다. -
몬테네그로 법원 "권도형, 한국으로 송환해야"
블록체인블록체인 2024.08.02 13:24:54테라·루나 폭락 사태의 핵심 인물인 권도형 씨가 한국으로 송환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1일(현지시간) 몬테네그로 항소법원은 권씨의 한국 송환을 결정한 포드고리차 고등법원의 판결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항소 법원은 이날 판결문에서 “포드고리차 고등법원은 권도형에 대해 한국으로의 약식 인도를 허용한 반면 미국의 범죄인 인도 요청은 기각했다”며 “이 결정에 대해 (검찰과 변호인이) 항소하지 않았으므로 포드고리차 고등법원 결정은 법적 구속력이 있다”고 전했다. 권 씨는 테라폼랩스 창업자다. 테라·루나 폭락 사태가 발생하기 약 한 달 전인 2022년 4월 싱가포르로 출국한 뒤 자취를 감췄다. 이후 몬테네그로에 입국하려다 지난해 3월 현지 공항에서 여권 위조 혐의로 붙잡혔다. 한국과 미국 사법 당국은 각각 권 씨 송환을 요구해왔다. 이에 어디로 신병을 인도할지를 두고 몬테네그로 현지 당국 판단이 엇갈리면서 공방은 1년 넘게 지속됐다. -
바이오젠, 바이오시밀러 사업부 매각 철회
문화·스포츠헬스 2024.08.02 13:24:08삼성바이오에피스의 미국 바이오젠 바이오시밀러 인수 계획이 무산됐다. 바이오젠 바이오시밀러 사업부는 미국과 유럽 등에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바이어시밀러를 유통해 온 회사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바이오젠과 제품 판매 파트너십 계약을 5년 더 연장키로 했다. 2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바이오젠은 전일 2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바이오시밀러 사업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바이오젠 바이오시밀러 사업부 인수 계획도 무산됐다. 삼성바이오에피스 관계자는 “당분간 새로운 유통망을 인수할 계획은 없다”고 전했다. 삼성그룹은 지난해부터 바이오젠 바이오시밀러 사업부 인수를 검토해왔다. 바이오젠이 유통하는 바이오시밀러 4개 중 3개가 삼성바이오에피스 제품인 만큼 제품 생산부터 유통까지 일원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바이오젠 바이오시밀러 사업부는 유럽과 미국에서 300여 명의 글로벌 의약품 판매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올해 6월 말 기준 매출액은 3억9500만 달러(약 5430억원)이다. 바이오젠은 삼성을 비롯해 인도 등 제약사들과 접촉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바이오시밀러 사업을 유지하기로 결정하면서 삼성바이오에피스 등 원매자들과의 협상이 자연스럽게 중단됐다. 삼성그룹도 바이오젠이 예상보다 높은 가격 요구하며 인수 매력이 떨어졌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삼성바이오에피스와 바이오젠은 제품 판매 파트너십 계약을 5년 더 연장하기로 했다. 베네팔리(성분명 에타너셉트), 임랄디(성분명 아달리무맙), 플릭사비(성분명 인플릭시맙) 등 3종이다. -
<코>텔레칩스, 장중 신저가 기록.. 16,710→16,270(▼440)
증권News봇 2024.08.02 13:21:10오후 1시 21분 현재 텔레칩스(054450)가 5.90% 내린 16,270원(▼1,020)을 기록하며, 52주 신저가를 -440원 경신했다. 기존 52주 최저가는 2024년 06월 27일 기록한 16,710원이다. 체결강도는 19%로 강세 반전했다. 총매수체결량은 15,691주, 총매도체결량은 84,309주를 각각 기록했다. (※ 체결강도(%) = (총매수체결량/총매도체결량)*100)이 시각 현재 거래대금은 16억6,803만, 거래량은 10만1,052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84(매도):16(매수)의 매도우위를 보이고 있다.거래일을 기준으로 최근 3일간 평균 거래량은 8만8천주, 60일 평균 거래량 1십4만2천주로 최근 거래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추세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유>코스모화학, 장중 신저가 기록.. 21,000→20,900(▼100)
증권News봇 2024.08.02 13:18:51오후 1시 18분 현재 코스모화학(005420)이 4.35% 내린 20,900원(▼950)을 기록하며, 52주 신저가를 -100원 경신했다. 기존 52주 최저가는 2024년 06월 24일 기록한 21,000원이다. 체결강도는 47%로 강세 반전했다. 총매수체결량은 30,931주, 총매도체결량은 66,504주를 각각 기록했다. (※ 체결강도(%) = (총매수체결량/총매도체결량)*100)이 시각 현재 거래대금은 21억2,509만, 거래량은 10만420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68(매도):32(매수)의 매도우위를 보이고 있다.거래일을 기준으로 최근 3일간 평균 거래량은 1십3만주, 60일 평균 거래량 1십6만6천주로 최근 거래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추세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옥중 순국’ 안중근·유관순 등 독립유공자 87명 AI로 한복 입는다
정치통일·외교·안보 2024.08.02 13:17:34안중근·유관순·신채호 등 옥중 모습을 마지막으로 남기고 순국한 독립운동가 87명의 마지막 모습이 인공지능(AI) 기술로 한복을 입고 되살아난다. 국가보훈부는 2일 빙그레와 함께 독립운동가들의 마지막 모습을 AI 기술을 통해 한복을 입은 모습으로 바꿔 선보이는 독립운동 캠페인 ‘처음 입는 광복’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캠페인의 대상은 공훈전자사료관 내에 순국 기록이 있는 독립운동가 중 수형 사진이 마지막 모습으로 남은 87명이다. 이들 중에는 안중근과 유관순, 안창호, 강우규, 신채호 등이 포함돼 있다. 이들의 사진을 AI 기술로 복원하고, 김혜순 한복 전문가와 협업한 실제 제작 한복을 영상 기술로 입혀 모습을 재현했다. 이번 캠페인은 온라인 사진전과 다큐멘터리 영상을 중심으로 옥외광고, SNS 콘텐츠, TV 광고, 지면 광고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국민에게 선보인다. 온라인 사진전에는 복원 전·후 사진은 물론 인물별 공적 정리와 함께 감사의 마음을 전할 수 있는 창구도 마련된다. 강정애 보훈부 장관은 “정부가 조국독립을 위해 일신을 바치셨던 독립운동가분들의 숭고한 생애와 정신을 국민과 미래세대가 영원히 기억·계승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
경찰, 복귀 전공의 신상 털고 '부역자' 비난한 의사 2명 입건
사회사회일반 2024.08.02 13:17:22경찰이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복귀 전공의들의 신상을 공개하고 조리돌림한 의사 2명을 입건해 조사 중이다. 2일 경찰에 따르면 서울경찰청은 전날 전공의 A씨를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혐의로 불러 조사했다. A씨는 의사·의대생 커뮤니티 메디스태프와 텔레그램에 복귀 전공의 명단을 게시한 혐의를 받는다. 아울러 경찰은 지난달 5일 병원에서 근무 중인 의사를 ‘부역자’로 지칭하는 게시글을 메디스태프에 올린 의사 B씨에게는 명예훼손 혐의를 적용해 수사 중이다. 경찰은 보건복지부와 교육부의 의뢰를 받아 수사에 착수했으며 지난달 19일 압수수색을 통해 이들 2명을 수사 대상자로 특정했다. 메디스태프에서는 전공의 사직 사태 초기인 3월 이후 사직하지 않았거나 복귀를 시도하는 전공의들을 향한 신상털기와 조리돌림이 계속되고 있다. 이들을 ‘참의사’라고 비꼬며 개인정보를 공개한 ‘블랙리스트’가 꾸준히 공유되고 있어 경찰은 이 사안을 수사 중이다. -
<코>SM Life Design, 장중 신저가 기록.. 1,505→1,492(▼13)
증권News봇 2024.08.02 13:15:06오후 1시 15분 현재 SM Life Design(063440)가 3.31% 내린 1,492원(▼51)을 기록하며, 52주 신저가를 -13원 경신했다. 기존 52주 최저가는 2024년 06월 27일 기록한 1,505원이다. 체결강도는 39%로 강세 반전했다. 총매수체결량은 37,783주, 총매도체결량은 95,875주를 각각 기록했다. (※ 체결강도(%) = (총매수체결량/총매도체결량)*100)이 시각 현재 거래대금은 2억2,792만, 거래량은 15만753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72(매도):28(매수)의 매도우위를 보이고 있다.거래일을 기준으로 최근 3일간 평균 거래량은 1십만4천주, 60일 평균 거래량 3십2만9천주로 최근 거래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추세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