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오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와 CEO 서밋 참석을 위해 경상북도 경주에 도착했다.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을 타고 김해국제공항에 내린 뒤, 전용 헬기 '마린원'과 전용 리무진인 '더비스트'를 타고 행사장으로 이동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일본 방문 일정을 마친 뒤 오전 11시32분 김해국제공항에 도착했다. 파란색 넥타이를 매고 등장한 트럼프 대통령은 카메라를 향해 시그니처 포즈인 주먹을 불끈 쥐는 모습으로 한국에 첫인사를 했다. 이후 손바닥을 다시 짧게 펴 보이고 주먹을 보인 뒤 계단 난간을 잡고 서서히 내려왔다.
국빈 자격으로 방한한 트럼프 대통령은 조현 외교부 장관 등이 맞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태진 외교부 의전장과 인사하며 짧게 얘기를 나눈 뒤 옆에 있던 조 장관에게 악수를 청했다. 조 장관은 잡던 손을 놓자마자 양손을 활용해가며 무언가를 열심히 설명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경청하는 모습이었다. 예포 21발이 발사됐고 군악대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유세에서 활용된 1970년대 히트곡 'YMCA'를 연주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2020년 선거 유세 말미에 이 노래에 맞춰 춤을 춘 게 화제가 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영접나온 강경화 주미대사, 홍지표 외교부 북미국장, 케빈 김 주한미국대사대리 등과 일일이 악수하며 인사를 나눴다. 강 대사는 트럼프 1기 집권 시절 외교부 장관을 지낸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대사대리와 얘기할 때는 어깨를 두어 번 툭툭 치며 친밀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북미외교에 관여했던 김 대사대리는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 임명된 조셉 윤 전 주한대사대리 후임으로 최근 부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해국제공항에에서 전용 헬기 '마린원'으로 갈아타고 경주 보문단지 내 보조 헬기장에 도착했다. 이곳은 APEC 정상회의장인 경주화백컨벤션센터 등 주요 동선으로의 이동이 편리한 곳이다. 이어 헬기장에서 전용 리무진 '더 비스트'로 바꿔타고 APEC 정상회의 공식 부대행사인 '2025 APEC CEO(최고경영자) 서밋'이 열리고 있는 경주예술의전당으로 곧바로 이동했다.
경찰은 경북 전역에 '갑호비상'을 발령하고 최고 수준 보안·경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현재 트럼프 미 대통령 동선에 드는 주요 도로 양쪽으로는 철제 펜스가 둘러쳐져 있고, 인도에는 10∼20m 간격으로 경력이 배치됐다. 트럼프 대통령 이동 중에는 우리 경찰 순찰차와 싸이카 5대 등이 앞쪽을, 뒤쪽에는 미국 측 차량 수십 대가 각각 경호를 담당했다.
경호 차량 행렬 중간에 위치한 더 비스트 3대에는 한국과 미국 국기가 양쪽에 꽂혀있었다. 다만 경호·경비가 강화된 탓에 트럼프 미 대통령 이동 경로에서 차량 행렬을 촬영하는 것은 금지된 상황이다.
CEO 서밋이 열리는 경주예술의전당도 경비태세가 한층 강화돼 경찰은 금속탐지기로 출입 차량 하부를 수색하는 등 철저한 신분 확인과 안전 점검을 마친 뒤 차량 통행을 허가하고 있다. 또 보문단지와 경주예술의전당 일대 상공은 비행금지구역으로 지정됐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경주 예술의전당 화랑홀에서 진행 중인 '2025 APEC CEO(최고경영자) 서밋'에서 첫 번째 정상 특별연설에 나설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이재명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는다. 지난 8월 28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이뤄진 첫 정상회담 후 두 달여 만이다.
트럼프가 미 대통령 자격으로 방한한 것은 1기 정부 때인 2017년 11월 한미 정상회담을 위한 서울 방문과, 2019년 6월 서울 한미정상회담 및 판문점 방문 이후 세 번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ee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