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양자컴퓨팅 기업에 자금을 지원하는 대신 지분을 확보하는 협상을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와 아이온큐(IonQ), 리게티 컴퓨팅, D-웨이브퀀텀 등 양자 컴퓨팅 기업이 유망 기술 기업을 위한 지원금을 받기 위해 정부를 주주로 받아들이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22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각 기업은 최소 1000만 달러(약 144억원)의 보조금을 논의하고 있으며 퀀텀컴퓨팅과 아톰컴퓨팅도 비슷한 내용의 논의를 검토하고 있다.
이 논의를 주도하는 인물은 폴 대버 상무부 차관으로 양자컴퓨팅 기업 임원 출신이다. 다만, 그가 공동 설립한 회사는 이번 지원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상무부는 전했다.
이 같은 움직임은 트럼프 행정부가 반도체를 비롯한 핵심 기술 기업의 주주로 직접 참여하는 최근 행보의 연장선이라는 분석이다. 트럼프 대통령과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납세자 돈(세금)으로 지원하는 만큼 정부도 기업의 성공 과실을 공유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실제로 지난 8월 미국 정부는 인텔에 지급된 90억 달러 규모의 보조금을 지분으로 전환해 약 10%의 지분을 확보하기로 합의했다. 이 합의로 미국 정부는 인텔의 최대주주가 됐다. 미국 최대 희토류 채굴 업체인 MP머티리얼스에도 유사한 방식이 적용됐다.
WSJ은 이번 지원이 미 정부의 양자컴퓨팅 분야에 대한 본격 지원 신호탄이 될 것으로 분석했다. 양자컴퓨터는 기존 컴퓨터가 수천 년 걸릴 연산을 빠르게 해결할 수 있어 차세대 핵심 기술로 평가받는다. 업계에서는 양자컴퓨팅을 통해 신약, 신소재, 화학물질 개발을 더 쉽게 할 수 있으며 경제 전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이에 글로벌 빅테크들은 앞다퉈 양자컴퓨팅에 투자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song@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