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이 22일 캄보디아 현지에서 스캠 범죄에 가담한 한국인 수가 1000명에서 최대 2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했다. 국정원은 최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 대학생의 고문·사망 사건 주범을 2023년 서울 강남 학원가 마약 사건 총책의 공범으로 특정하고 추적 중이다.
국정원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보고했다고 정보위 여야 간사인 박선원(더불어민주당), 이성권(국민의힘) 의원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국정원은 캄보디아 내 범죄 단지가 프놈펜·시아누크빌 등 총 50여 곳에 달하고 여기에 가담하는 범죄 종사자 수를 약 20만 명가량으로 추산했다. 범죄 단지 중에는 무기를 소지한 비정부 무장단체가 장악한 지역도 있었다. 이들은 2023년 한 해만 캄보디아 국내총생산(GDP)의 절반 수준인 125억 달러에 해당하는 범죄수익을 챙긴 것으로 집계됐다.
국정원은 또 캄보디아 경찰청이 올 6~7월 검거한 스캠 범죄 피의자가 3075명이고 이 중 한국인은 57명이라고 보고했다. 18일 캄보디아에서 국내로 소환된 이들에 대해서는 “피해자라기보다는 대부분 범죄에 가담한 사람으로 보는 것이 객관적”이라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대학생 사망 사건과 관련해서는 사건 발생 3일째에 정보를 최초 입수하고 8일 만에 주범을 ‘2023년 강남 학원가 마약 사건’ 총책으로 캄보디아에서 검거된 리 모 씨의 공범이라고 확정했다. 국정원은 “주범 행적 및 연계 인물을 캄보디아 측에 지원하고 체포를 위해 추적 전담반을 파견하는 등 공조를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국정원은 캄보디아 사태와 관련해 이재명 대통령이 “발본색원 될 때까지 국정원이 조직의 사활을 걸고 확실히 해결해 국민의 걱정을 덜어드리라”고 특별 지시를 내렸다고도 공개했다. 이 대통령의 특별 지시 이후인 13일 신속대응팀을 캄보디아로 보낸 국정원은 캄보디아 인근 지역으로 범죄 조직이 이동할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현지 당국과 합동 대응 중이라고 부연했다.
한편 국회 외교통일위원회는 이날 프놈펜에 위치한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에서 현장 국정감사를 열고 한국인 대상 납치·감금 범죄 관련 상황을 점검했다. 대사관에 따르면 2023년 20명 수준이던 범죄 신고는 지난해 220명, 올해(8월 기준) 330명으로 폭증세다. 지난해와 올해 신고된 550건 중 450건이 해결됐고 100건가량은 여전히 미해결 상태다.
국감에서는 7월부터 공석 상태인 대사 공백을 빨리 메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민의힘 소속인 김석기 외통위원장은 “4급인 대사 대리와 1급인 대사는 만날 수 있는 캄보디아 정부 관계자도 다를 수밖에 없다”며 대사 임명 필요성을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esang222@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