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의 주거 정책을 총괄하는 이상경 국토교통부 1차관이 전세를 끼고 집을 매수하는 ‘갭 투자’ 논란에 휩싸였다. 이를 두고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에 2년간 실거주 의무를 부여한 10·15 대책의 취지와 어긋나는 행보라는 비판이 나온다.
21일 관보와 법원 부동산 등기사항증명서 등에 따르면 이 차관의 배우자는 지난해 7월 성남시 백현동 판교푸르지오그랑블 전용 117㎡를 33억 5000만 원에 매수했다. 이후 소유권 이전 등기 전인 지난해 10월 5일 14억 8000만 원에 전세 계약을 체결해 세입자를 들였다.
현재 이 차관이 거주하는 집은 경기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판교밸리호반써밋’ 전용면적 84㎡다. 이 차관은 2017년 8월 이 주택을 6억 4511만 원에 매입한 후 올해 6월 11억 4500만 원에 매도해 약 5억 원의 시세 차익을 남겼다. 이후 이 차관은 이 아파트에 전세 형태로 거주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이 차관의 주택 매입 방식이 전형적인 갭 투자라고 보고 있다. ‘판교 대장 아파트’로 꼽히는 판교푸르지오그랑블의 소유권을 보유한 채 전세를 놓고, 실거주는 다른 집에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차관 내외가 판교푸르지오그랑블을 매수한 이후 1년 사이 집값이 올라 이 아파트 전용 117㎡의 호가는 최고 42억 원에 달하는 상황이다. 이 차관이 올해 6월 판교밸리호반써밋을 매도하고 여기서 세입자로 살고 있는 것도 매수자의 갭 투자를 허용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특히 이 차관이 19일 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나중에 집값이 안정되면 그때 사면 된다”고 발언한 것과 정반대의 행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의혹에 대해 이 차관은 시세 차익을 위한 투자가 아니었다는 입장이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더 큰 집으로 이사하기 위해 백현동 주택을 매수했지만 입주 시점이 맞지 않아 부득이하게 원래 살던 고등동 집에 전세로 살게 된 것”이라며 “2027년 1월에 백현동 아파트의 전세 계약이 끝나면 실제 입주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youngkim@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