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적인 허리 통증을 겪는 사람 10명 중 6명은 우울증이나 심장병, 관절염 등 다른 만성 질환도 함께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리 통증을 단순한 근골격계 문제로 보기보다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함께 살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현지시간) 과학 전문 매체 스터디파인즈는 2019년 브라질 국가건강조사에 참여한 성인 8만 7678명의 건강 데이터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보도했다.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대(UFMG)와 상파울루대(USP), 호주 시드니대 공동 연구진이 발표한 해당 논문은 브라질물리치료저널 9·10월호에 실렸다.
연구 참가자 중 21.6%가 만성 허리 통증을 앓고 있다고 답했으며, 이 가운데 62.1%는 최소 한 가지 이상의 다른 만성 질환을 함께 겪고 있었다.
이들은 심장병, 우울증, 관절염, 당뇨병 등 일상생활을 어렵게 만드는 심각한 질환을 동시에 관리하고 있었다.
특히 만성 허리 통증 환자의 40.5%가 심장병을 앓고 있었는데 허리 통증이 없는 사람의 심장병 발병률 22.8%와 비교하면 상당한 차이다.
관절염이나 류머티즘은 허리 통증 환자의 19.3%에서 나타났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은 4.3%에 불과했다.
우울증 발병률 차이는 더욱 뚜렷했다. 허리 통증이 없는 사람의 우울증 비율은 7.7%였지만, 만성 허리 통증 환자는 19.3%로 3배에 육박했다.
여러 질환을 동시에 앓는 환자 중 여성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만성 허리 통증과 우울증을 함께 겪는 환자의 81.1%가 여성이었다. 관절염과 허리 통증을 동시에 앓는 환자 중에서도 여성 비중이 79.3%를 기록했다.
연구진은 허리 통증을 단순한 근골격계 문제로 보지 말고, 수백만 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한 건강 위기의 일부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브라질을 대상으로 했지만, 결과는 선진국 연구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독일, 호주, 미국의 연구에서도 허리 통증과 만성 질환이 함께 발생하는 유사한 패턴이 확인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tyxx@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