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마비된 정부 행정정보시스템이 당초 파악된 647개에서 709개로 정정된 가운데 복구율은 27.2%(193개)에 그친 것으로 9일 집계됐다. ‘복구 골든타임’으로 지목했던 추석 연휴까지 끝난 상황에서 피해 현황 파악과 복구 계획이 모두 수정되며 전산망 장애 사태가 장기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진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날 브리핑에서 국정자원 통합운영관리시스템(엔탑스)을 복구한 결과 기존 집계보다 62개 많은 709개 시스템의 가동이 이번 화재로 중단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등급별로는 1등급 40개, 2등급 68개, 3등급 261개, 4등급 340개다. 이 가운데 이날 오후 6시 기준 총 197개 시스템(복구율 27.79%)이 정상화됐고 1등급 핵심 시스템의 경우 27개가 복구됐다.
피해 수치가 늘어난 이유에 대해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엔탑스 복구 전에는 정확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어 직원들의 기억과 관제 시스템에 등록된 웹사이트 기준 등에 기반해 647개를 관리해왔다”며 “엔탑스와 관제 시스템 간 기준이 달랐는데 부처 간의 협의를 통해 (전체 목록에서) 분리할 것은 분리하고 통합할 것은 정리하며 숫자가 변경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대본은 “기존에도 필요에 따라 두 가지 기준을 모두 활용해왔다”며 미처 인지하지 못했던 시스템이 새롭게 생긴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다만 통계를 바로잡은 것이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 점에서 관리 체계를 향한 의심의 눈초리도 여전한 상황이다. 앞서 정부는 화재로 전소된 시스템을 총 70개로 발표했다가 화재 발생 다음 날인 지난달 27일 저녁 96개로 정정한 바 있다. 이날 브리핑에 따라 전소된 시스템 수가 재차 바뀔 가능성이 있다. 지난달 30일에는 가동 중단된 1등급 시스템이 36개인지 38개인지를 두고 혼선을 빚기도 했다.
중대본은 대전 센터에서 화재 피해가 가장 큰 5층 전산실 3곳(7-1전산실·7전산실·8전산실)의 시스템과 관련된 복구 계획 또한 일부 수정했다. 앞서 정부는 전소된 7-1전산실 시스템을 대구 센터 내 민간 협력형 클라우드로 이전하고 복구하기까지 총 4주가 소요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진행 과정에서 입주 기관들과의 협의 등이 늦어짐에 따라 일부 시스템은 대전 센터의 다른 층 전산실로 재배치해 복구하기로 했다. 중대본 관계자는 “5층 시스템 전체를 대구 센터로 이전하는 것보다 대전 센터에서 신속히 신규 장비를 수급해 복구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라는 기술적 판단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화재 현장 내 분진 제거 과정이 매우 까다로워 작업 시간을 단축하는 데 물리적 한계가 있다는 점 역시 복구 속도를 더디게 하고 있다. 이에 대해 김 차관은 “8전산실 내 분진 제거는 거의 끝났고 7전산실도 절반 이상 청소 과정이 진행됐다”면서 “연휴 중 신규 도입된 서버 90식, 네트워크 장비 64식 등 총 198식의 전산 장비의 설치가 완료되는 15일부터 복구 시스템이 빠르게 늘어날 것”이라고 약속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