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건설공사 계약액이 63조 5000조 원을 기록하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8% 증가했다. 하지만 지방 현장과 시공능력평가 1000위 밖의 영세 건설사들은 계약 금액이 오히려 줄어 양극화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2분기 건설공사 계약액이 전년 동기(60조 6000억 원) 대비 4.8% 증가한 63조5000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공공부문은 17조 4000억 원, 민간부문은 46조 1000억 원의 계약액을 올렸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7.4%, 3.9% 증가했다.
공종별로는 토목 부문이 산업설비 감소 영향으로 계약액이 16조 2000억 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19.3% 급감했다. 건축은 16.8% 증가한 47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기업 규모에 따른 불균형도 커졌다. 시공능력평가 상위 1~50위 기업의 계약액은 28조 3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 증가했다. 특히 51~100위권 중견 건설사 계약액은 5조 500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93.4% 급증했다. 101~300위 기업과 301~1000위 기업의 계약액도 각각 2.9%, 20.0% 늘었다. 반면 시공능력평가 1000위 밖 영세 건설사의 계약액은 19조 500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7.5% 줄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현장 계약액이 36조 원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11.2% 증가했다. 하지만 비수도권은 28조 5000조 원의 계약액을 기록해 2.1% 감소했다.
한편 국토부가 이날 발표한 ‘2024년도 전국 건축물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건축물은 총 742만 1603동, 연면적 43억 148만제곱미터(㎡)로 집계됐다. 용도별 면적 비중을 보면 주거용이 19억 871만㎡로 전체의 46.1%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는 상업용이 9억 5525만㎡(22.1%)으로 컸다. 지난해 건축허가 면적은 전년보다 9% 줄었지만 착공은 6.7%, 준공은 10.9% 증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