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자산운용은 ‘KODEX 반도체레버리지’와 ‘KODEX AI반도체’가 반도체 상장지수펀드(ETF) 중 각 분야에서 연초 이후 수익률 1위를 돌파했다고 23일 밝혔다.
KODEX 반도체레버리지는 전일 기준 연초 이후 135.6% 상승하며 국내 상장한 전체 반도체 ETF 중 수익률 1위를 달성했다. KODEX 반도체레버리지는 국내 대표 반도체 지수인 ‘KRX 반도체’를 일간 2배 수익률로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다. 종합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합쳐 전체 포트폴리오의 80% 이상 편입하고 있으며 그 외에 국내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기업을 골고루 담고 있다.
KODEX AI반도체는 연초 이후 68.3% 상승하며 레버리지, 액티브 유형을 제외하면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담은 국내 반도체 ETF 14종 중 수익률 1위에 이름을 올렸다. KODEX AI반도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합쳐 46%가량 편입하고 있으며 AI향 직접적인 전방 수요뿐 아니라 한미반도체, 테크윙과 같이 HBM 밸류체인에 속하는 주식까지 고르게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2023년 이후로 국내 반도체 시장은 미국의 대형 클라우드 업체를 일컫는 일명 하이퍼스케일러들의 AI 투자에 따른 HBM 수요가 주를 이루었다. 당시에는 AI 반도체 관련 기업 위주로만 매출 성장과 주가 상승이 이뤄졌다. 이에 비해 최근에는 전통 반도체라고 불리는 D램, 낸드 기업들까지 공급 부족 현상이 일어나면서 반도체 제조사들이 지속적으로 가격을 인상하고 있다.
마승현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국내 반도체는 수요∙공급 미스매치에 따른 사이클이 존재하는 산업으로 폭발적인 수요가 발생하고 재고가 없는 공급자 우위의 시장 상황에서는 어느 섹터보다 높은 성과를 보여준다”며 “KODEX 반도체레버리지와 KODEX AI반도체 ETF를 통해 빠른 시장 대응 뿐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국내 AI반도체 생태계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의 관심이 어느 때보다도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