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남양주시가 지역 혁신형 공공의료원의 2028년 조기 착공을 목표로 행정력을 집중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도 공공의료원 조성 부지를 찾아 착공 시기를 앞당기는 데 힘을 보태겠다고 밝히면서 사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28일 남양주시에 따르면 혁신형 공공의료원은 총 사업비 1591억 원을 투입해 남양주시 호평동 백봉지구 종합의료시설부지 3만 3800㎡에 300병상 이상 규모로 건립할 예정이다. 소아·분만·응급 등 필수의료 기능 외에도 돌봄의료서비스를 함께 제공한다. 당초 사업 계획은 2030년 착공해 2033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광덕 남양주시장은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와 민자사업(BTL) 절차를 단축해 2028년으로 착공 시기를 앞당긴다는 구상이다. 주 시장은 전날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간담회 및 현장 방문에서 “시민들께서 간절히 바라는 만큼 모든 역량을 집중해 2028년 조기 착공을 반드시 이뤄내겠다”며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는 시 단독으로는 어려운 과제이므로 민·관·정이 함께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는 ‘혁신형 공공의료원’을 주제로 남양주시 호평평내행복센터에서 열렸다. 김 지사와 주 시장을 비롯해 지역 국회의원, 도의원, 보건 전문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관계자, 시민 70여명이 참석했다.
특히 남양주 공공의료원 유치를 위해 결성된 민관정 협의체와 아파트 주민, 사회단체, 주민자치회 등 다양한 지역 공동체가 함께 참여해 의료원 건립 필요성에 공감했다.
남양시는 인구 100만 대도시로 성장했음에도 대형 종합병원이 없어 수도권 동북부의 대표적인 의료취약지라는 점을 부각했고, 주민들은 응급·필수 의료 공백을 해소할 수 있는 공공의료원의 신속한 조성을 촉구했다.
김 지사는 “예타 면제를 하게 되면 약 1년 반 정도의 시간을 아낄 수 있고, BTL 과정도 빨리 추진하면 1년 가까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면서 “우리 계획대로 되면 1년 반에서 2년 반 정도까지 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예상했다.
문재인 정부 경제부총리 시절 전국 광역시도별로 2개 사업씩 예타 면제를 결정했던 경험이 있는 김 지사는 자신을 예타 전문가를 자처했다. 그러면서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경기 동북부권 공공의료 공백을 해소하기 위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을 낙관했다.
김 지사는 구윤철 경제부총리를 최근 예방해 예타 문제와 관련, “의료서비스는 경제적 효율성으로 따질 문제가 아니다. 사람의 생명과 건강과 안전이 달려 있는 문제다. 새 정부 정책 방향이 경제적 효율성에 앞서 사람 우선이니 속된 말로, ‘선빵’으로 이런 것(예타면제)을 빨리빨리 했으면 좋겠다”고 말한 내용도 소개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