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접경 지역에 대한 이해도가 역대 가장 높은 대통령이 당선된 만큼 연천군은 변화의 기회를 맞고 있습니다. 지금의 연천은 인구소멸이라는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수 있도록 총력전을 펼치고 있는 만큼 중앙 정부의 지원이 절실합니다.”
김덕현 경기 연천군수는 29일 연천군청에서 진행된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경기도지사를 지낸 행정가로서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을 강조해 온 이재명 대통령이 연천군 개청 이래 현안 청취를 목적으로 방문한 첫 대통령으로서 지역의 변화를 약속했다”면서 한껏 기대감을 드러냈다.
연천군은 수도권으로 분류되지만 재정자립도는 15.3%로 전국 평균인 48.6%에 한참 못미치는 수준이다. 또 젊은 층이 급속도로 빠져 나가 경제 활력도가 떨어져 생활 여건은 비수도권 보다 열악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여기에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 등 중첩규제는 매번 연천 지역 발전의 발목을 잡고 있다. 수도권 산업단지 분양가의 절반 수준에 융자제도 등 각종 지원 혜택을 제공하는 연천 ‘BIX(Business Industry Complex)’의 분양률은 30%대에 머무는 등 투자유치도 지지부진하다.
이와 관련해 김 군수는 지난달 이 대통령과의 대화에서 내년 인구감소지역에 연천군을 재지정하는 한편 기회발전특구 지정 요건을 완화해 달라고 요청했다.
김 군수는 “현 정부의 키워드가 특별한 희생에 대한 특별한 보상인데 군 전체 면적의 95%가 북한과 맞닿아 철조망을 베개 삼아 살아 온 세월만 70년이 넘은 연천군을 빼고 논할 수 없다”며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나누는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 특수상황인 접경 지역을 ‘삼분화’ 하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표적인 지원 정책으로 기회발전특구 지정 기회 부여 및 수도권정비계획법 정비를 꼽았다. 낙후된 지역의 기업 투자·유치를 위해 세제나 재정 지원, 규제 특례 등의 정책적 지원이 이뤄지는 기회발전특구는 지난해 수도권 접경지역·인구감소지역 또한 포함시켰으나 기준안이 ‘비수도권 대상’으로 명시돼 있어 연천군은 혜택을 받을 수 없었다.
김 군수는 “과거 지원 정책이 정부의 일방적인 결정으로 주어지는 예산 제공에 머물렀다면 이제는 정책적 규제를 완화해 지역이 자생할 수 있도록 도와야 경쟁력을 키울 수 있다”며 “비수도권 보다 열악한 특수 지역은 수도권 규제에서 배제하는 한편 보다 다양한 기회를 제공한다면 연천군도 사활을 걸고 정부 정책에 발맞춰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 군수는 지난 3년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생활인구 1000만 명 시대를 열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연천군청에서 9급부터 4급까지 공직을 지낸 김 군수는 연천의 다소 폐쇄적인 이미지를 벗고 개방된 도시로의 변화를 이끈다는 계획이다.
연천군은 김 군수 체제에서 국도 3호선 우회도로 및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으로 교통 접근성을 크게 개선시킨 데 이어 경기도의회 의정연수원 유치 및 국립연천현충원 착공 등의 성과를 거뒀다. 김 군수는 ‘세컨드 홈’ 특례를 활용해 정주인구 및 생활인구를 늘리는 데 행졍력을 한층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김 군수는 경원선의 주축이 될 서울~연천 고속도로 조기 착공을 위해 정부와 국회를 연일 찾아가 설득하고 있다. 서울~연천 고속도로는 정부의 국정과제로 남북 교류협력에 대비하고, 경기 북부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추진 예정이다. 정부는 지난해 9월 사전타당성 조사에 착수하기도 했다.
김 군수는 “국도와 지하철을 갖춘 연천군은 이제 ‘북한 옆 폐쇄적인 동네’라는 이미지를 벗고 기업을 위한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지원 정책과 다양한 지역 정착 프로그램을 대외적으로 알려야 할 때”라며 “이를 위해서는 공직자와 군민들도 문을 활짝 열고 당장의 이익 보다 미래의 연천군을 위해 함께 힘을 모아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