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와 165억 달러(약 22조8000억원) 규모의 반도체 공급계약을 맺으면서 그동안 부진했던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사업을 강화할 기회를 갖게 됐다고 로이터 통신이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로이터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27일 밤 텍사스 테일러에 있는 삼성의 새 반도체 공장에서 테슬라의 차세대 AI6 칩을 생산할 것이라고 밝혔다면서 이는 주요 고객 유치와 유지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오랫동안 지연돼온 삼성의 파운드리 프로젝트에 다시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전날 머스크는 X(옛 트위터)에 “삼성은 테슬라가 제조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허용했다”며 “생산 속도를 높이기 위해 직접 생산 라인에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165억 달러는 최소 금액에 불과하다. 실제 생산량은 몇 배 더 많을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삼성전자는 이번 계약으로 AI 칩 생산 경쟁에서 입지를 강화할 것이란 기대를 받고 있다. 계약 발표 당일 삼성전자 주가는 6.8% 상승 마감했고, 테슬라 주가도 4.2% 오름세를 기록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계약이 삼성 테일러 공장에 큰 활력을 불어넣어줄 것으로 보고 있다. NH투자증권 류영호 선임 애널리스트는 삼성의 테일러 공장과 관련 "지금까지 사실상 고객이 없었기 때문에 이번 계약은 상당히 의미가 있다"면서 하지만 계약 규모가 삼성의 연간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할 수 있다고 말했다.
키움증권 박유악 애널리스트는 이번 계약이 상반기 5조원(36억 달러)을 돌파했을 것으로 보이는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의 손실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이번 계약은 테슬라의 당면 과제 해결과는 직접 연결되기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로이터는 “반도체 공급까지는 수년이 걸릴 전망이어서 전기차 판매 부진, 로보택시 서비스 확대 등 단기 이슈에는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한편 이번 계약이 현재 진행 중인 한미 무역 협상과 연계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로이터에 “이 계약이 한미 협상 패키지의 일부라는 이야기는 들은 바 없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