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정원 증원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의 수련 환경 개선 등을 논의하는 수련협의체 첫 회의에서 정부가 “국민 눈높이에 맞는 수련 복귀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형훈 보건복지부 2차관은 25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수련협의체 첫 회의에서 “하반기 전공의 정기 모집이 임박한 상황에서 전공의들이 의료 현장에 돌아올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기 위해 협의체를 열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의료계에서는 복지부 심의 기구인 수련환경평가위원회의 유희철 위원장, 김원섭 대한수련병원협의회장(충북대병원장), 박중신 대한의학회 부회장, 전공의 단체인 대한전공의협의회 한성존 비대위원장과 김동건 비대위원이 참석했다. 이날은 첫 회의인 만큼 향후 협의체 운영 방향 등에 초점을 맞췄고 매주 금요일마다 수련 환경 개선을 둘러싼 구체적 현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9월부터 수련을 시작하는 하반기 전공의 정기 모집 공고는 이달 말께 이뤄진다. 의료계는 정은경 복지부 장관 취임 사흘 만에 수련협의체를 가동하는 등 새 정부가 의정 사태 해결 의지를 나타낸 데 대해 환영하는 분위기다. 전공의 대표인 한 비대위원장은 “조속한 시기에 실질적인 대화의 장을 마련해주셔서 다행이라고 생각한다”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는 구조가 구성되기를 바라고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건설적인 논의가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전협 비대위는 정부에 △윤석열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재검토를 위한 현장 전문가 중심의 협의체 구성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및 수련 연속성 보장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를 위한 논의 기구 설치 등 3가지 요구안을 내걸었다. 아울러 수련 기간 단축은 요구하지 않을 방침이다. “양질의 수련을 받고 좋은 전문의가 되겠다는 입장과 정면으로 배치된다”는 게 대전협 입장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수련 연속성을 보장하려면 미필 전공의들의 입영 연기 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일부 전공의들을 중심으로 나오고 있다.
전공의들에게 환자 단체의 반발과 비우호적인 국민 여론은 부담 요소다. 이달 17일 국회전자청원에 올라온 ‘의대생·전공의에 대한 복귀 특혜 부여 반대에 관한 청원’에는 이날 오전까지 6만 4000여 명이 동의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