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6일부터 나흘간 800㎜에 육박하는 극한호우가 내린 경남 산청군을 21일 찾았다. 이 대통령은 산청과 합천, 의령 등 피해가 심각한 지역에 대한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신속히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이 대통령은 박완수 경남도지사의 특별재난지역 선포 건의에 대한 화답과 함께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재난특별교부금과 신속한 수색, 복구를 위해 인력과 장비를 최대한 지원하라"고 지시했다.
산사태 피해가 발생한 산청읍 부리마을을 찾은 이 대통령은 주민과 대화 과정에서 한 주민이 “이 폭우에 피해가 이 정도면 행정에서 대처를 잘한 것 같다”고 하자 “조기 대처로 피해를 최소화한 모범사례를 찾아보라”고 윤 장관에게 지시했다.
도는 이날 이 대통령에게 △산청·합천·의령에 대한 특별재난지역 조속 선포 △용량 부족 문제를 안고 있는 지방하천의 근본적 복구 대책 마련 △응급조치에 그치지 않는 산사태 항구복구 사업 추진 △도로시설 복구 시 국고 부담률 상향을 통한 지방재정 부담 완화 △현재 지원 수준으로는 부족한 피해주택 복구비 현실화 등 5개 건의사항을 전달했다.
특히 주택 복구비의 형평성과 현실성을 강조했다. 박 지사는 “지난 산불 피해 당시 전파 주택에 8000만 원 이상이 지원된 반면, 이번 호우 피해 주택 지원금은 2000만 원 수준에 불과하다”며 “자연재해의 유형은 다르더라도 피해 주민의 고통과 손실은 동일한 만큼, 복구 지원에서도 형평성과 현실성이 반드시 반영돼야 한다”고 밝혔다.
도는 실종자 수색과 장례 지원, 응급 생계구호, 아이돌봄 연계, 재난 심리 회복지원 등 이재민 보호에 집중하고 있으며, 가용 가능한 모든 자원을 동원해 조속한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날 오후까지 사흘째 실종자 수색을 진행하고 있지만 토사와 부유물, 바위 등이 워낙 많은 데다 수색 범위가 넓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종자 수색 구역을 세분화하고, 드론과 구조견 등도 투입했다. 이날 538명의 인력과 122대의 장비가 투입됐고, 도내 15개 소방에서 비상 소집된 소방인력 114명도 긴급 투입됐다.
공공시설 복구도 속도를 내고 있다. 현재 도로 85곳, 하천 22곳, 상하수도 17곳, 산사태 4곳 등 162곳에서 응급복구를 진행 중이다. 공무원과 주민까지 힘을 보태며 794명이 복구에 팔을 걷어붙였다. 투입된 중장비만 1147대에 이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