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가 14일 인사청문 정국에 본격 돌입하면서 이른바 ‘현역 불패’ 신화가 이번에도 이어질지 관심이 쏠린다. 이재명 정부 1기 19개 부처 장관 후보자 중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총 8명이다. 앞서 국회 임명동의를 통과한 김민석 국무총리까지 포함하면 내각의 현역 의원 비율은 45%에 달한다. 인수위 없이 출범한 정부의 조기 정국 안정을 위한 방안이다. 상임위 경험으로 쌓은 전문성과 정무 감각 또한 현역 의원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이유다.
2005년 인사청문회 제도가 도입된 후 현역 의원이 낙마한 사례는 단 한 차례도 없다. 장관 후보자와 청문위원이 서로 ‘동료 의원’ 신분인 만큼 상대적으로 검증 허들이 낮았다. 후보자가 낙마할 경우 다시 국회에서 마주쳐야 하는 상황도 ‘맹탕 청문회’를 만드는 요인으로 꼽힌다. 여기에 ‘언젠가는 나도 장관 후보자가 될 수 있다’는 인식이 더해지면서 공세의 칼날이 무뎌졌던 게 사실이다.
다만 이번에는 상황이 복잡하다는 게 정부·여당의 판단이다. 100% 인사청문회를 통과할 경우 자칫 ‘일방통행’이라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는 탓이다. 이 때문에 ‘인사 폭주’를 보인 윤석열 정부와 차별성을 나타내기 위해 한 명 정도 낙마하는 그림을 만드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대통령실도 청문회 이후 여론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과거 낙마했던 후보자들과 비교할 때 어떤 수준인지에 대한 것들도 점검해보고 있다”며 “청문회 이후 국민 여론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