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대용·박지원과 함께 조선 후기 대표적인 실학자로 꼽히는 박제가의 친필 책, ‘동의보감’의 저자 허준의 전염병 연구서 등이 보물이 된다. 국가유산청은 ‘박제가 고본 북학의’와 ‘벽역신방’ 등 총 9건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1일 밝혔다.
‘북학의’는 박제가(1750~1805)가 1778년 중국(청) 베이징을 다녀온 후 국가 제도와 정책 등 사회·경제 전 분야에 대한 실천법을 제시한 지침서다. 책은 내·외편으로 구분돼 있는데 내편은 각종 기물과 장비에 대한 개혁법을, 외편은 제도와 정책에 대한 개혁안을 소개하고 있다.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된 수원화성박물관 소장 ‘박제가 고본 북학의’는 작성 시기가 초기본에 가장 가깝고 박제가가 친필로 쓴 원고로 만든 책(고본)이라는 점이 분명해 가치가 탁월하다는 평가다. ‘열하일기’를 쓴 박지원의 서문도 남아 있다.
‘벽역신방’은 허준(1539~1615)이 국왕의 명령으로 1613년 편찬한 의학 전문 서적이다. 광해군대에 유행했던 당독역(성홍열로 추정)에 대한 허준의 경험, 이론적 견해, 치료법 등이 담겼다. 내의원에서 목활자로 간행된 이 책은 적은 분량임에도 당독역에 대한 최초의 관찰이자 치료 대책이 담겨 있어 전염병 연구사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또 당시 조선 사회의 전염병 유행 실태 및 조정의 대응 방법, 의학 전문 서적의 간행·보급 실체 등을 알려주고 있다.
이와 함께 국가유산청은 ‘강화 전등사 명경대’, ‘삼척 흥전리사지 출토 청동정병’, ‘구례 화엄사 벽암대사비’, ‘대혜보각선사서’, ‘예기집설 권1~2’, ‘합천 해인사 금동관음·지장보살이존좌상 및 복장유물’, ‘창원 성주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등 7건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